총 4개
-
페스트의 역사2024.09.151. 감염병의 역사와 영향 1.1. 천연두 1.1.1. 유럽의 아메리카 정복과 천연두 확산 콜럼버스의 항해 이후 수많은 유럽인이 아메리카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1519년 스페인 병사 500여 명이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도착했고, 이후 스페인이 멕시코를 정복하면서 천연두가 만연하게 되었다. 스페인 사람들과 함께 이동한 전염병이 아즈텍 사람들 사이에 퍼지면서 전체 인구의 4/3이 천연두와 그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이로써 스페인은 근대식 무기나 군대가 아닌 '전염병'으로 아즈텍 제국을 멸망시킬 수 있었다. 15세기부터 유럽에서 시작되어...2024.09.15
-
매독의 영향과 역사2024.10.091. 감염병과 인류 역사 1.1. 주요 감염병 유행 사례 1.1.1. 천연두 천연두는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병으로, 매우 전염성이 높아 사람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졌다. 특히 밀집된 지역이나 학교 등에서 유행이 심했다. 이로 인해 학교나 공공장소의 폐쇄, 사회적 격리, 임시 격리 시설의 설립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20세기 초까지 천연두는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많은 사망자를 야기했다. 1979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의학과 예방 접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세계적으로 천연두가 근절되었다. 천연두 유행으로 인해 백신과 ...2024.10.09
-
고1 의료계열 한국사 보고서2024.11.171. 일제강점기 전염병 1.1. 전염병의 종류 및 양상 1.1.1. 콜레라 콜레라는 처음 조선에 등장했을 때, 정체를 알 수 없는 괴이한 병이라는 뜻에서 '괴질'이라 불렸고 이후 호랑이가 살점을 찢어내는 것과 같이 괴롭다고 하여 '호열자'라는 이름이 붙기도 했다. 당시의 콜레라 치사율은 80~90%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콜레라는 원래 인도 지방의 풍토병이었는데 영국의 대인도 식민지배 이후 여러 교역로와 물자, 인력의 이동을 통해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일제강점기에는 1919년, 1920년에 대유행했는데, 1919년에는 ...2024.11.17
-
피부계통 진료2024.09.051. 원숭이두창의 이해 1.1. 원숭이두창이란 원숭이두창은 천연두, 그리고 또한 흔한 사마귀인 우두와 전염성 연속종 물사마귀를 포함하는 것으로 유명한 바이러스 족인 Poxviridae의 Orthopox 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이 바이러스는 주요 숙주로서 동물들(설치류와 원숭이들과 같은 일부 척추동물)과 관련이 있으며, 1958년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의 원숭이들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인간에게 퍼진 것은 그 이후이며, 아프리카 9개국에서의 풍토병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것은 아프리카 밖에서는 드문 감염병이...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