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9개
-
근거기반간호사례2024.11.231. 천식 환자 관리에 있어 호흡 운동의 효과 1.1. 임상 시나리오 김창원(F/50)은 호흡곤란과 불안으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김창원 환자는 어릴 때부터 천식(asthma)이 있었지만 아무리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었다고 하였다. 이 환자는 집에서 albuterol MD를 반복 사용하였으나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이 환자를 위하여 담당 간호사는 약물치료 이외에 천식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졌다. 천식의 비약물적 요법에는 흡연, 규칙적인 운동, 체중 감량, 폐렴 구균 접종, 호흡 운동 등이 있다. 담당 ...2024.11.23
-
아동 천식 지식부족2024.10.111. 천식의 정의와 병태생리 1.1. 천식의 정의 천식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중상을 나타내는 병이다.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막혀 숨이 차게 된다. 천식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되며, 알레르기원, 호흡기 감염, 담배연기, 아황산가스와 오존과 같은 ...2024.10.11
-
천식 신체사정2025.03.201. 서론 천식은 전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소아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천식은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으로 인해 기관지가 좁아지고 과민해지면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숨가쁨, 천명, 기침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천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특히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등의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과민반응이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호흡기 감염, 스트레스, 운동 등 다양한 요인들이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천식의 진단...2025.03.20
-
부비동염2025.01.251. 만성 부비동염(Chronic Pansinusitis) 1.1. 정의 부비동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이다. 이 공간들은 작은 구멍(자연공)을 통해 코 속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부비동 내의 공기의 환기 및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진다. 부비동염(축농증)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질병의 기간이 4주 미만일 경우에는 급성 부비동염, 3개월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만성 부비동염으로 정의한다....2025.01.25
-
가족-천식, 35년 흡연 , 가슴조임증상, 과호흡, 천명음2024.11.091. 만성 폐쇄성 폐질환 1.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으로 인해 초래되는 환기장애로 정의된다.""과거에는 천식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속했으나 현재는 천식이 복잡한 세포성, 화학성 중재인자가 개입되어 있는 염증이므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분리되었다."" 1.2. 병인 및 역학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인 및 역학은 다음과 같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크게 두 가지 요인, 즉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으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기관지염의 주요 원인은 흡연이며, 이외에도 공기 오염, 알파-1 항트립신 ...2024.11.09
-
호흡곤란,가슴조임증상, 과호흡, 천명음이 폐전체에서 남, 흡보조근사용, 간호진단2024.11.091. 천식 CASE STUDY 1.1.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이름 김OO은 11세 남아로, 출생 시 2.8kg의 체중으로 40주 만에 제왕절개로 출산하였다"이다. 내원 1일 전부터 호흡곤란(dyspnea)과 기침(cough)이 있었는데 2일째인 당일 기침이 심해져 응급차를 통해 입원하였다. 1달 전에도 응급실 방문 경험이 있었다. 주호소로는 "숨쉬기가 힘들어요", "아이가 기침을 너무 많이 해요"라고 하였다. 증상은 호흡곤란(dyspnea), 쌕쌕거림(wheezing), 가래(sputum), 기침(cough)이 있었고, 처음 증상...2024.11.09
-
35년흡연,호흡곤란,가족천식, 천명음, 호흡보조근사용, 간호진단2024.11.091.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1.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과 동반되어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이다."" 1.2. 원인과 위험요인 1.2.1. 흡연 흡연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매일 1갑씩 8년간 담배를 피운 환자는 징후와 증상이 없어도 폐쇄성 폐 변화를 가지고 있다. 매일 1갑씩 20년 이상 담배를 피운 환자는 COPD가 있으며, 이는 폐 기능검사(PFTs)에서...2024.11.09
-
천식 케이스2024.10.03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우리나라 인구의 약 3.9%가 천식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천식 유병률은 2.7%이고 사망자 수는 연간 1,398명으로 약 2.8%로 나타난다."천식은 만성 기도염증을 특징으로 다양한 임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며, 가변적인 호기 시 기류제한과 함께 시간에 따라 중증도가 변하는 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의 병력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천식 환자의 증상경험 악화 예방,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천식환자의 질적인 간호 제공이 필요하다. 1.2....2024.10.03
-
병동 메뉴얼2024.10.031. 폐 질환 1.1. 폐렴(Pneumonia) 폐렴은 말초 기관지와 일반적으로 폐포라고 하는 폐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이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이물질 흡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발열, 오한, 기침, 가래, 호흡곤란, 전신쇠약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CBC, ESR, 전해질 검사, 간기능 검사, CRP, 동맥혈 가스 분석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 흉부 X-ray, CT 촬영 등을 통해 폐렴의 위치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를 위해 항생제 투여, 증상 완화를 위한 기도 확장제...2024.10.03
-
흡입성 폐렴 검사2024.11.061. 호흡기 감염 1.1. 원인과 특징 1.1.1. 감염원 호흡기 감염의 감염원은 다양한 병원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원인 바이러스로는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nonpolio enterovirus (coxsackievirus A and B),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es), parainfluenza viruses, human metapneumoviruses 등이 있다. 이 외에도 A군 B(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Group A B-hemolytic streptococci, GABHS)...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