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일반화학실험 3판 르샤틀리에2024.09.221. 서론 1.1. 화학평형과 착이온의 중요성 화학평형과 착이온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화학평형은 가역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 더 이상의 변화가 없는 상태가 된다. 화학평형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연계의 많은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화학평형의 이해는 화학을 비롯한 자연과학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기초가 된다. 착이온은 중심금속 이온에 주변의 배위 리간드들이 결합한 화합물로, 전이금속 이온이 주로 착이온을 ...2024.09.22
-
[Co(NH3)5(H2O)]Cl32024.10.211. 배위 결합과 착화합물 1.1.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은 다음과 같다. 부분적으로 채워진 d 오비탈을 가지는 원소, 또는 불완전하게 채워진 d 오비탈을 포함한 양이온을 만들 수 있는 원소를 전이 금속(transition metals) 또는 전이 원소(transition elements)라고 한다. 1개에서 10개 사이의 d 전자를 가지는 원소들은 다양한 산화수, 착화합물, 촉매 특성을 보인다. 대부분의 전이 금속들은 다양한 리간드와 결합하여 여러 가지 금속 착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배위 결합이란 루...2024.10.21
-
화학에서 평형 상수의 결정2024.09.291. 실험 목적 1.1. 화학 평형 상수 결정 화학 평형 상수 결정은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평형상태에서 존재하는 반응물과 생성물(착이온) 각각의 농도를 비색법으로 측정하여 반응의 상수를 결정하는 실험이다. 먼저, 화학 평형은 서로 다른 화학 물질들의 농도의 균형이며 이들 사이의 화학 반응 속도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일정한 온도에서 화학 반응이 평형상태에 있을 때 생성물의 농도 곱과 반응물의 농도 곱의 비는 항상 일정한데, 이를 질량 작용 법칙이라고 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평형상수(K)는 온도가 일정하면 농...2024.09.29
-
평형상수의 결정2024.11.08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FeSCN2+의 착이온 평형에서 반응의 평형 상수를 구하고 화학 평형을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금속인 Fe3+에 리간드인 SCN-가 결합하여 착이온인 FeSCN2+를 형성하는 반응의 평형 상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화학 평형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 원리 1.2.1. 화학 평형 화학 평형은 가역반응에서 정반응의 속도와 역반응의 속도가 같은, 즉 평형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외부 환경이 바뀌지 않는 한 변하지 않는데, 외부 조건의 변화에 따른 평형의 이동은 "평형상...2024.11.08
-
일반화학 평형상수2024.11.181. 화학 평형 1.1. 화학평형의 개념 화학평형이란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지만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화학 반응에서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등한 속도로 진행되어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이를 화학평형상태에 도달했다고 한다. 화학평형에 도달하게 되면 거시적으로는 반응이 멈춘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반응과 역반응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평형상태에서 반응물과...2024.11.18
-
황산사암민구리2024.12.081. 황산사암민구리(Ⅱ) ([Cu(NH3)4]SO4, Tetraamine Cupric Sulfates) 1.1. 실험 목적 및 원리 구리(II) 용액에 암모니아를 가하면 수산화구리(II)의 연한 청색 침전이 우선 형성된다. 그러나 여기에 과량의 암모니아를 녹이면 진한 청자색의 용액이 되는데 이는 Cu(NH3)4²⁺의 착이온에 의한 것이다. 이 착이온은 황산염의 형태로 변화시키면 쉽게 결정화된다. 따라서 이번 실험의 목적은 구리염 용액과 암모니아를 반응하여 구리의 배위화합물을 합성하고, 앞선 실험인 구리염의 합성 결과와 비교하는 것...2024.12.08
-
황산사암민구리(Ⅱ)의 합성2024.11.301. 황산사암민구리(Ⅱ)의 합성 1.1. 실험과정 1.1.1. 황산구리와 암모니아수 혼합 비커에 증류수 12mL를 넣고 분말의 CuSO4·5H2O 12.5g과 진한 암모니아수 20mL를 가하였다. 구리(II)염의 용액에 암모니아를 가하면 수산화구리(II)의 연한 청색 침전이 우선 형성된다. 이때 암모니아를 과량으로 넣게 되면 Cu(NH3)42+의 착이온에 의해 진한 청자색의 용액이 된다. 반응식은 CuSO4·5H2O(s) + 4NH4OH(aq)→ [Cu(NH3)4]SO4(s) + 9H2O(l)와 같다. 이와 같이 배위화합물(=착...2024.11.30
-
복염 합성 실험 레포트2024.10.191. 복염의 합성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복염(double salt) 중 하나인 (NH4)2Cu(SO4)2를 제조하고 분석함으로써 복염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1.2.1. 염 염은 산과 염기 용액이 섞여 중화 반응이 일어나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결합하여 있는 이온 결합 화합물이다. 반응하는 물질의 산성과 염기성, 그리고 그 세기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갖는 염이 생성된다. 강산과 강염기, 약산과 약염기를 반응시키면 중성염이 생성되며 산 또는 염기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강산과...2024.10.19
-
무기공업분석실험2024.11.041. 철의 정량 1.1. 화학분석 화학분석(chemical analysis)은 물질을 이루고 있는 원자, 분자, 이온 및 라디칼 등을 검출하여 종류와 양을 확인하거나 물질 중에 존재하는 특정 화합물의 상대적인 양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화학은 그 목적에 따라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으로 나눠진다. 정성분석은 화합물의 조성을 밝히거나 혼합물 중 특정 화합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정량분석은 혼합물에 존재하는 일부 또는 모든 화합물에 대해 각각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량분석에는 무게분석법과 부...2024.11.04
-
황산구리 황산암모늄 합성2024.10.171. 착화합물(배위 화합물)의 합성과 특성 1.1. 수화물의 성질 수화물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을 가열하면 무겁고 투명한 수증기가 발생하는데, 이는 화합물 내의 결정수가 열에 의해 빠져나와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화합물은 수화물이라고 한다. 수화물은 물 분자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로, 화합물 속 물 분자와 이온 혹은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 때문에 안정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가열하면 결정수가 증발하여 수증기가 발생하고, 화합물의 색깔이나 성질이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황산구리(CuSO4)는 ...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