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개
-
RFLP2024.11.071.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1.1. 개요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RFLP는 1980년 데이비드 보스테인(David Bostein)과 그의 동료들이 특정 제한효소(restriction endonuclease)를 이용해 가계지도를 작성하던 중 처음 발견한 방법이다. RFLP는 각 개인으로부터 얻은 DNA를 적당한 제한효소로 자르고 전기영동을 한 후 특정 탐침으로 Southern 혼성화할 ...2024.11.07
-
Gene cloning2024.09.301. 유전자 클로닝 1.1. 유전자 클로닝의 개요 유전자 클로닝이란 생물체의 특정 유전자를 세포에서 추출한 후, 그 유전자를 벡터 DNA에 삽입하고 Competent Cell에서 증식시킴으로써 균일한 유전자 집단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유전자 클론화라고도 하며 특정 유전자의 대량 복제를 위해 쓰이는 중요한 DNA 재조합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수많은 종의 유전체와 종간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유전체의 DNA 조각, 혹은 서로 겹쳐져 있는 염기서열의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 또한 개별 유전자 수준에서 핵산의...2024.09.30
-
DNA 제한효소 결과2024.10.071. 제한효소 실험 1.1. 제한효소의 종류와 특징 제한효소에는 크게 Ⅰ형, Ⅱ형, Ⅲ형의 3종류가 있다"" Ⅰ형 제한효소는 분자량이 30만으로 Mg^{2+}, Adanosine triphosphate(ATP), S-adenosylmethionine(SAM)을 필요로 하며, endonuclease 활성, 수식 methylase 활성, ATPase활성을 가진 다기능 효소로 DNA 절단 시 다량의 ATP를 분해한다. 또한 endonuclease 활성, 수식 methylase 활성이 인식하는 염기배열은 동일하지만 DNA를 절단하는 ...2024.10.07
-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의 절단 및 전기영동2024.09.191.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 절단 및 전기영동 1.1. 제한효소의 개요 1.1.1. 제한효소의 정의 및 기능 제한효소는 이중 가닥 DNA 분자의 특정한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그 부분이나 주변을 절단하는 효소이다. 제한효소는 세균이 박테리오파지라는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으면 생산하는 효소로, 바이러스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구분하고 이중 나선 DNA를 절단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DNA는 보호하고 외부 유입 DNA는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2024.09.19
-
제한 효소와 소화 실험 보고서2024.09.191. 유전자 클로닝을 위한 제한효소 실험 1.1. 제한효소 EcoRI의 특성 EcoRI는 대장균의 플라스미드 RY13에서 코드되며 DNA의 특수한 6염기배열 5′-GAATTC-3′을 인식하여 다음과 같이 절단한다. 즉, 5′-인산과 3′-OH말단이 생성된다. EcoRI는 50mM NaCl, 100mM tris-HCl 완충액(pH 7.5), 5mM MgCl2액에서 최적반응조건을 나타낸다. 그러나 고농도의 글리세롤이나 저농도의 염분 조건에서는 스타 활성(AATT만 인식)이 나타나기 쉽다. EcoRI는 가격이 저렴하여 유전자지도만들기(...2024.09.19
-
제한효소 및 소화 실험: 효소작용 영향2024.09.191. 제한효소와 DNA 절단 1.1. 제한효소의 종류와 특성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한 염기배열을 식별하고 이중사슬을 절단하는 핵산분해효소(endonuclease)의 하나로서, 유전공학에서 재조합 DNA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효소이다. 제한효소는 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 Ⅰ형 제한효소는 인식하는 염기서열과 절단 위치가 다른 곳에 있어 연구에 부적합하다. 둘째, Ⅱ형 제한효소는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이를 정확히 절단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유전자 조작에 주로 사용된다. 이 제한효소는 인식하는 염기서열이...2024.09.19
-
현대생물학실험22024.10.311. 플라스미드 클로닝과 발현 1.1. TA 클로닝 및 형질전환 TA 클로닝은 PCR을 거친 product의 3'에 존재하는 A overhang과 T vector의 3'의 T overhang의 상보성으로 인해 클로닝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DNA strand의 3'-OH 그리고 5'-P 사이의 phosphodiester bond를 형성하게 되어 ligation을 진행한다. ligation이 완료된 플라스미드 DNA를 DH5α에 주입하여 Transformation을 통해 DH5α의 유전형질을 새롭게 변환시킨다. Lac o...2024.10.31
-
λDNA와 제한효소를 사용한 DNA ladder 만들기2024.10.101. 제한효소와 DNA 분석 1.1. 제한효소의 기능 1.1.1. 제한효소의 특성 제한효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한효소는 DNA 사슬 상의 특정한 염기배열을 인식한 후, DNA의 두 사슬을 모두 절단하는 endonuclease이다. 제한효소는 인식하고 절단하는 염기배열에 따라 세 종류(I, II, III)로 나뉜다. 그 중 type II 제한효소는 특정 염기배열(일반적으로 4~6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됨)을 인식하고 인식한 염기서열 내의 특정 부위를 절단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제한효소는 DNA 분석, 지도 작성과 gene...2024.10.10
-
Stryer 생화학2024.10.131. 면역 발색법 (Western Blot) 1.1. 실험목적 세포나 조직 내의 특정 단백질의 발현 양을 알아보는 면역 발색법(Western blot 또는 Immunoblot)을 통해 배양 근원 세포의 분화에 따른 creatine kinase, actin의 발현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결과 1.2.1. 면역발색 결과 면역발색 결과에 따르면, 상기 실험에서는 세포 내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creatine kinase와 actin을 대상으로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다. ...2024.10.13
-
전남대 분자생물학2024.10.161. 제한효소의 발견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 1.1. 제한효소의 발견 1.1.1. 베르너 아르버, 대니얼 네이선스, 해밀턴 오서널 스미스의 발견 스위스의 세균학자 베르너 아르버(Werner Arber)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박테리오파지가 세균 숙주에 유전적인 돌연변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에도 유전적인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아르버는 세균에 존재하는 방어효소의 작용에 대해 깊이 연구하게 되었는데, 이 효소는 바이러스의 DNA 분자를 작은 조각으로 잘라 박테리오파지의 성장을 제...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