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2개
-
화학평형상수 계산 및 분석2024.09.241. 서론 1.1. 관련 이론 및 관련식 관련 이론 및 관련식은 다음과 같다. 가역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를 질량 작용 법칙(law of mass action)이라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n1A + n2B + ····· ⇌ n1'A' + n2'B' + ····· { { {C }`_{A' } ^{ {n }_{1 } } } · { {C }`_{B' } ^{ {n }_{2 } } }····· } / { { {C }`_{A } ^{ {n }_{1 } }...2024.09.24
-
요오드2024.10.231. 실험 배경과 원리 1.1. 요오드가의 정의 및 측정 방법 요오드가(iodine value, IV)는 유지 100g에 흡수되는 요오드(I2)의 g수로, 유지 지방산의 불포화도(degree of unsaturation)를 표시해 주는 척도이다. 따라서 요오드가 측정을 통해 특정 유지의 향수(constant)를 알 수 있다. 요오드가 측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정량의 유지에 할로겐화요오드(ICl, IBr)를 작용시키면 유지 중의 이중결합이 풀어지면서 그 위치에 할로겐화요오드에서 분리된 I와 Cl가 결합하게 된다. 더 이상 해...2024.10.23
-
비타민C 정량2024.11.0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산화-환원 적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여 생활 속에서 섭취하는 음식 등의 비타민 C 함량을 정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른 사고를 가지고, 올바른 방법으로 비타민 C를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목적이다. 1.2. 이론적 배경 1.2.1. 산화 환원 원자의 산화수에 따라 달라지는 화학 반응으로 산화화 환원은 서로 반대의 작용이다. 한물질에서 다른 물질로의 전자의 이동을 포함하는 반응이다. 산화란 분자, 원자 또는 이온 상태에서 산소를 얻...2024.11.05
-
표준용액 조제와 산-염기의 중화반응2024.10.041. 산·알칼리 표준용액의 조제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특정 농도의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확인하고, 만들어진 용액의 농도가 실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용량 분석에 사용되는 용액들은 반드시 그 농도를 정확히 확인한 후 실험에 사용해야 하므로, 본 실험에서는 0.1N-HCl과 0.1N-NaOH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각각의 농도를 측정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실험을 통해 표정(역가측정)의 개념을 배우고, 제조된 용액이 얼마나 정확한지 판단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본...2024.10.04
-
비타민c 분석2024.10.071. 서론 1.1. 실험 목적 DPIP (2,6-dichlorophenolindophenol)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비타민 음료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를 정량 분석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비타민 C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비타민 음료에 포함된 비타민 C의 함량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비타민 C의 분자량을 계산하고, 비타민 C와 DPIP의 실제 반응 몰수비를 확인하여 오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1.2.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원자의 산화수가 달라지는 화학 반...2024.10.07
-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2024.11.041. 실험 목적 및 원리 1.1. 산-염기 중화 반응의 이해 산-염기 중화 반응은 산(H+)과 염기(OH-)가 반응하여 물(H2O)과 염(A-)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대표적인 산-염기 중화 반응은 다음과 같다. HCl(aq) + NaOH(aq) → NaCl(aq) + H2O(l) 이 반응에서 염화수소(HCl)는 산, 수산화나트륨(NaOH)은 염기로 작용한다. 이들이 반응하여 염화나트륨(NaCl)과 물(H2O)이 생성된다. 산-염기 중화 반응은 화학 양론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반응에 소비된 산이나 염기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면...2024.11.04
-
식초와 아스피린의 정량분석2024.10.281. 실험 목적 1.1. 몰농도(M), 산·염기의 개념 이해 몰농도(M)는 용액 1리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몰(mol)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화학 실험에서 용액의 농도를 표현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이다. 예를 들어 2 M NaOH 용액은 1리터의 용액 속에 2몰의 수산화나트륨(NaOH)이 녹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용액의 몰농도를 알면 특정 부피의 용액 중 용질의 몰 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산(acid)과 염기(base)는 화학 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물질 개념이다. 산은 수용액 상에서 수소 ...2024.10.28
-
생활 속 산 염기 분석 A2024.10.281.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 1.1. 이론 1.1.1. 산, 염기의 정의 산은 물 속에서 수소이온(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는 물 속에서 수산화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이다. 이러한 Arrhenius의 산, 염기 정의에 따르면, 산은 H+를 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OH-를 내놓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CH3COOH)은 물에서 H+를 내놓아 산성을 띠며, 수산화나트륨(NaOH)은 물에서 OH-를 내놓아 염기성을 띤다. 한편, Brønsted-Lowry의 산, 염기 정의에 따르면, 산은 H+를 내놓는 물질이고...2024.10.28
-
생활속의 산염기분석 식초,NaOH용액 표준화2024.09.221.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1.1. 실험명 실험명은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이다. 1.2. 실험 목적 산-염기 중화반응을 이용해서 생활 속의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아보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3. 이론적 배경 1.3.1. Arrhenius 산-염기 아레니우스는 산(acid)을 "물에 녹아서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로, 염기(base)를 "물에 녹아서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즉, 아레니우스 산은 수소 이온을 내놓아 수용액을 산성으로 만들고, 아레니우스 염기는 수산화 이온을 내놓아...2024.09.22
-
검정기구의 실험 레포트2024.09.291. 유리기구 부피 측정 및 검정 1.1. 부피 측정 원리 및 주의사항 1.1.1. 메니스커스 관찰법 유리기구를 이용하여 정확한 부피를 측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메니스커스의 높이를 정확히 읽어내는 것이다. 메니스커스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관 속의 액면이 이루는 곡면을 말한다. 액체의 성질에 따라 액면이 오목하거나 볼록해진다. 대부분의 측정 기구들이 그러하듯이 메니스커스의 위치가 특정한 눈금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연장법에 의해 두 눈금을 가상으로 10등분하여 메니스커스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정확한 부피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