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7개
-
안쪽 복사 골절2024.09.151. 복사뼈(Malleolus) 골절 1.1. 정의 복사뼈(Malleolus)란 발목 양쪽의 튀어나온 부위로 정강뼈(tibia) 아래쪽 끝부분이 안쪽복사(medial malleolus)이고, 종아리뼈(fibula) 아래쪽 끝부분이 가쪽복사(lateral malleolus)로 되어있다. 1.2. 분류 복사뼈 골절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안정골절(stable fracture)과 불안정골절(unstable fracture)로 나눌 수 있다. 안정골절은 관절의 한쪽 면만 손상된 경우이며, 불안정골절은 발목의 양쪽이 모두 손상된 경우이다...2024.09.15
-
뇌경색2024.09.161. 뇌경색 개요 1.1. 뇌경색 정의 뇌경색이란 환자의 뇌 조직이 괴사하여 융해되는 질환을 말한다. 환자의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1.2. 뇌경색 유형 뇌경색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째, 뇌색전증은 심장질환이 있거나 목의 혈관에 동맥경화 등의 혈전이 있다가 떨어져 색전물로 떠돌다가 작은 뇌혈관에 걸려 막히는 경우이다. 둘째, 뇌혈전증은 뇌에 관련된...2024.09.16
-
급성 뇌경색 간호과정2024.09.201. 서론 2022년 10월 28일 오후 1시 40분경 도보로 응급실을 방문한 조OO(M/77세)의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OO 님은 아침에 일어난 직후 왼쪽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을 보여 응급실에 내원하였고, 급성 뇌경색 진단을 받았다. 조OO 님은 현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으며, 2002년 뇌졸중으로 입원한 이력이 있어 뇌경색의 위험이 높은 상태이다. 이번 입원을 계기로 급성 뇌경색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령, 기저질환 등이 동반되어 있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므로 ...2024.09.20
-
편마비2024.09.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편마비는 신체의 한 쪽 부분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마비되는 질환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경우가 가장 많다. 이는 의식상태가 명료할 수도 있지만, 환자와 보호자에게 우울감, 슬픔을 형성하고, 이로 인한 이차적인 문제점과 재활치료에 드는 경제적 비용으로 인해 많은 근심과 걱정을 초래한다"" 이 연구를 통해 편마비에 대한 정보를 알고 지식을 쌓아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재활과정에서 환자와 보호자가 호소하는 문제들을 파악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빠른 재활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2024.09.21
-
radiata infarction2024.09.211. 서론 1.1. 간호력 전○○ 환자는 83세의 남성 환자로 입원 시 뇌경색 진단을 받았다. 발병일은 2021년 12월 16일이며, 내원 12시간 전 갑자기 발생한 구음장애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평소 구음장애가 없었던 환자로 대화에 제약이 없을 정도로 의사소통이 가능하였으며, 식사, 거동, 화장실, 옷 입기 등의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이 가능하였다고 하였다. 환자의 과거력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심근경색, 관상동맥 1혈관 질환, 이상지질혈증, 과거 뇌졸중, 만성 신장 질환 등이 있었다. 2014년에는 좌측 신장 절제술...2024.09.21
-
다발성경화증2024.09.201.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1.1. 정의 및 특징 다발성 경화증은 만성퇴행성 신경근질환으로, 뇌와 척수의 신경섬유 수초 탈락이 특징이다.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경우 환경 요인으로 인해 면역조절 기능이 손상되면서 자가면역질환으로 발병한다. 주로 20~40대에 발병하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더 많이 발병한다.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당 3.5명 수준의 발병률을 보이며, 추운 북쪽 지역에서 발병률이 더 높다. 중추신경계에 흉터조직이 퍼지면서 만성적이고 점진적으로 악화와 회복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2024.09.20
-
방문요양 라운딩 가상 상담일지2024.09.191. 어르신 상담 내용 요약 1.1. 인지 자극 및 대화 증진 어르신의 인지 자극 및 대화 증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어르신이 뇌 체조와 건강박수를 요양보호사와 함께 열심히 따라하며 인지 자극 활동을 하고 계시다. 어르신은 이러한 활동에 집중력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평소 어르신이 좋아하시는 어릴 적 가족 이야기를 자주 들려주고 있는데, 이를 통해 대화를 증진시키고 있다. 요양보호사는 어르신이 가족 이야기를 자주 설명하실 때 경청하며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어르신의...2024.09.19
-
OT평가도구2024.09.101.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1.1.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의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뇌졸중 혹은 중풍은 뇌의 혈관이 막혀서 혈액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뇌세포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못하거나 또는 뇌혈관이 터져서 출혈이 발생하면서 뇌가 압박 받거나 뇌가 손상 받기 때문에 생긴다. 뇌의 혈관이 막히는 경우를 뇌경색증이라고 하고 뇌의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라고 한다.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의 주요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 동맥염 ...2024.09.10
-
뇌경색 응급실2024.09.301.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1.1. 정의 및 원인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은 뇌혈관의 폐쇄로 인해 뇌조직이 괴사되는 질환이다. 뇌경색의 정의는 뇌혈류가 감소하여 뇌에 불가역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뇌경색의 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뇌혈전(brain thrombosis)이다. 동맥경화, 특히 죽종성 경화에 의한 뇌동맥의 폐쇄가 그 원인이 된다. 둘째, 뇌색전(brain embolism)이다. 주로 심장 내에 생긴 혈전이 떨어져서 뇌동맥을 폐쇄시키는...2024.09.30
-
SAH 케이스 스터디: 신경계중환자실 관리2024.09.261. 서론 1.1. 지주막하출혈의 정의 지주막하출혈은 뇌 표면의 동맥이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뇌졸중의 일종으로 뇌를 손상시킬 수 있다.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혈액은 뇌와 두개골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가며, 이는 뇌와 뇌척수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뇌척수액과 혼합된다. 이로 인해 뇌 주위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뇌압 상승으로 인해 뇌의 기능이 방해받게 된다. 1.2. 지주막하출혈의 원인 지주막하출혈의 원인은 크게 자발성출혈과 외상성출혈로 나눌 수 있다. 자발성출혈의 가장 큰 원인은 약 90%가 뇌동맥류 파열이다. 그...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