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디스크확산법2024.09.271. 항생물질 및 항균제 1.1. 항생물질의 분류 1.1.1.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는 크게 여러 가지로 나뉜다. 대표적인 예로 β-lactam계, aminoglycoside계, macrolide계, tetracycline계, quinolone계, glycopeptide계 등으로 구분된다. β-lactam계 항생물질은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4개의 고리 구조인 β-lactam고리를 가지고 있다. ...2024.09.27
-
저나2024.10.011. 항생제 개요 1.1. 항생제의 정의 항생제는 미생물이 자신의 성장을 위해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항생물질이란 '생명활동을 방해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미생물이 만들어낸 이러한 물질은 다른 미생물의 발육과 증식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항생제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의약품으로, 과거부터 인간의 질병 치료에 큰 기여를 해왔다. 1.2. 항생제의 분류 항생제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미노 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박테리아의 단백질 ...2024.10.01
-
세균 항생제 감수성 및 내성 측정 실험2024.10.181. 항생제의 이해 1.1. 항생제의 정의와 분류 항생제는 병원성 세균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화학 물질이다. 항생제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화학적으로 합성된 합성 약품과 살아있는 생물체들의 물질대사 부산물로서 형성되는 항생물질이다. 항생제는 사용 범위, 작용 기전, 화학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계열로 분류된다. 사용 범위에 따라서는 좁은 범위(narrow spectrum)와 광범위(broad spectrum)로 구분되며, 작용 기전에 따라서는 세포벽 합성 억제, 단백질 합성 억제, 핵산 합성 및 활성 억제, 대사 방...2024.10.18
-
약물 정리2024.11.151. 약물 정보 1.1. 응급약물 1.1.1. Atropine Atropine은 부교감신경 차단제로,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가지고 있다." Atropine은 부교감신경을 차단하여 위장관 경련성 통증, 담관, 요관의 선통, 경련성 변비, 야뇨증, 소화성 궤양의 보조치료, 방실전도 장애, 마취전 투여, 유기인 살충제 및 부교감신경 차단제의 중독, 기관지 점막, 위액 등의 분비 억제, 동공 산대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부작용으로는 산동, nausea, vomiting, 배뇨장애 dysuria, 두통, 호흡곤란, 심계항진 등이 나타...2024.11.15
-
항생제 실험2024.08.261. 항생제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항생제의 기전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해보고 미생물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소량의 대사산물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항생제의 작용기전을 이해하고, 항생제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어떠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항생제 4종(Amoxicillin/Sulbactam, Kanamycin, Tobramycin, Fluconazole...2024.08.26
-
디스크 확산법2024.10.201. 항생물질이란 1.1. 항생물질의 정의 항생물질이란 생물, 특히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다." 1.2. 항생물질의 분류 1.2.1.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항생물질의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는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항생물질들을 묶어서 분류한 것이다. 대표적인 화학구조에 따른 항생물질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타락탐(β-lactam) 계열 항생물질이다. 이 계열에는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카바페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β-lactam 고...2024.10.20
-
항생제 실험2024.08.281. 항생제 기본 정보 1.1. 항생제의 정의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산하였지만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로 정의된다. 즉,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막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이다. 대부분의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지만, 곰팡이와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1.2. 항생제의 작용기전 1.2.1. 세포벽 합성 억제 세포벽 합성 억제는 항생제가 세균의 세포벽 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세균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 기전이다. 세균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으로 구성되어 있...2024.08.28
-
항생제 감수성2024.08.281. 항생제 감수성 실험 1.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항생제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실험한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감수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항생제가 어떻게 세균을 억제하는지 이해하고,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실험 미생물의 감수성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항생제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항생제가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항생제 선택과 처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1.2. 실험 배경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소량의 대사산물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다. 항생...2024.08.28
-
항생제 감수성 실험2024.08.281. 항생제 감수성 실험 1.1. 실험 목적 항생제 감수성 실험의 목적은 항생제의 기전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여 미생물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항생제가 세균에 대하여 작용하기 위해서는 세균 내에 항균제의 표적 분자가 있고, 적절한 농도의 항생제가 세균의 표적이 되는 부위로 침투가 가능하여야 하며, 항생제가 표적 분자와 만나 상호작용을 통해 항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항생제가 세균의 세포 내 혹은 세포 외의 효소에 의해 불활성화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이번 실험을 ...2024.08.28
-
향정신병약물 정형2024.09.091. 정신 약물학 1.1. 정신약물의 작용기전과 부작용 정신약물의 작용기전과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정신약물의 작용기전은 주로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와 작용하여 약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향정신성 약물은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강화 또는 억제함으로써 정신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항정신병 약물은 주로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정신병적 증상을 감소시키고, 삼환계 항우울제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하여 우울증상을 개선한다. 또한 기분안정제인 리튬은 신경세포 내부의 나트륨 및 칼슘 이온 조절을 통해 ...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