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신장트리의 정의와 활용분야2024.09.171. 알고리즘의 개념과 발전 1.1. 알고리즘의 정의와 특성 알고리즘의 정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명확하고 체계적인 단계들의 집합이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와 규칙을 의미한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과 수학 분야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데이터 처리, 계산 수행, 의사 결정 등을 위해 사용된다. 알고리즘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고리즘은 유한성을 가져야 한다. 즉, 유한한 단계를 거쳐 반드시 종료되어야 한다. 둘째, 알고리즘은 명확성을 가져야 한다. ...2024.09.17
-
방송통신대학교 자료구조2024.09.241. 자료구조 1.1. B 트리 B 트리는 데이터를 정렬하여 탐색, 삽입, 삭제 및 순차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리형 자료구조로 m원 탐색 트리의 하나이며 인덱스 구조를 구현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B 트리가 m원 탐색 트리가 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루트와 잎 노드를 제외한 각 노드는 최소 m/2개의 서브 트리를 가져야 한다. 둘째, 트리의 루트는 최소한 두 개의 서브 트리를 가져야 한다. 셋째, 모든 잎 노드는 같은 레벨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B 트리는 검색...2024.09.24
-
배열과 연결 리스트 다양한 관점2024.10.051. 서론 1.1. 자료와 정보의 개념 자료와 정보의 개념은 현실세계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는 관찰과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 혹은 사실로 현실세계의 실제 대상이나 현상을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성별, 온도, 수온, 강수량 등이 자료에 해당한다"" 이러한 자료를 가공하여 특정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만든 결과물이 정보이다"" 즉, 정보는 자료에 대한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간의 관계를 표현한 내용으로, ...2024.10.05
-
알기쉬운 알고리즘2024.10.131. 알고리즘의 이해 1.1. 알고리즘의 정의와 특징 알고리즘이란 "컴퓨터가 따라 할 수 있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혹은 절차를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과정"을 말한다"." 알고리즘은 컴퓨터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제공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들과 절차를 절차에 맞게 나열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은 자연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기도 하고 순서도를 활용해서 설명하기도 하는데, 자연어를 사용해서 알고리즘을 표현하면 일상적인 말들로 문제를 풀기 위한 과정을 순서에 맞게 나열할 ...2024.10.13
-
출석수업2024.10.131. 자료와 정보의 개념 1.1. 자료와 정보의 차이 자료와 정보의 차이는 명확히 구분되는 개념이다. 자료(data)는 연구, 조사, 관찰,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 또는 사실을 의미하며, 정보(information)는 어떠한 상황이나 현상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도움이 되는 지식이나 해석을 말한다. 즉, 자료는 수집된 값이나 사실 그 자체이고, 정보는 이러한 자료를 분석, 가공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의 키와 몸무게와 같은 측정값은 자료에 해당하지만, 특정 연령대의 평...2024.10.13
-
시 공간 T.O.P 설명2024.12.111. 알고리즘 소개 1.1. 알고리즘의 개념 1.1.1. 알고리즘의 정의 알고리즘이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단계와 순서에 따라 실행되는 일련의 절차 또는 규칙이다.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지침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이다.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유효성(Effectiveness)으로 각 명령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해야 한다. 둘째, 명확성(Clarity)으로 각 명령은 모호하지 않고 단순명확해야 한다. 셋째, 유한성(Finiteness)으로 한정된 수의 ...2024.12.11
-
디지털논리회로 5장 연습문제2024.10.141. 기본적인 디지털 논리회로 설계 1.1. 실습 목적 본 실습의 목적은 기본 논리 게이트로 구성된 회로를 Schematic과 VHDL로 각각 설계하여 시뮬레이션 후, 시뮬레이션 결과가 작성한 진리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논리회로 설계 과정과 설계 방식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1.2. 실습 내용 1.2.1. Schematic 설계 ISE 또는 Quartus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Block Diagram/Schematic을 이용해 [그림 3-14]의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다"" [그림 3-14]의 회로는...2024.10.14
-
JAVA 성적관리2025.02.151. 서론 1.1. JAVA 성적관리 개요 JAVA 성적관리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성적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JAVA는 높은 범용성과 플랫폼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 성적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다. 성적 관리의 중요성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성적 관리를 통해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학생, 학부모, 교사 간 원활한 소통과 피드백...2025.02.15
-
2024 정보통신공학과 편입 전공면접 준비 자료2025.01.081. 정보통신공학과 편입 면접 질문 1.1. 2024 정보통신공학과 편입 대비 전북대학교 면접 질문 전북대학교의 정보통신공학과 편입 면접은 주로 인성 면접 위주로 진행된다. 매년 고정적으로 출제되는 기본 이론 문제들도 있는데, 이에는 라플라스 변환, 행렬, 미분 방정식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인 질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미분 방정식에 대한 설명, 미정계수법, 라플라스 변환의 도함수 등 기초적인 수학 이론에 대한 질문들이 다뤄진다. 또한 벡터의 정사영, 행렬 대각화, 행렬식 등 선형대수학 관련 개념에 대해서도 설명...2025.01.08
-
출석수업2024.09.091. 자료구조와 정보 1.1. 자료와 정보의 개념 '자료'와 '정보'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자료구조와 컴퓨터 프로그래밍 관점에서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정보'는 어떠한 상황이나 현상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도움이 되는 지식이나 해석을 의미한다. 반면 '자료'는 연구, 조사, 관찰 또는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이나 사실을 의미한다. 즉,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 것이 정보인 것이다. 빅데이터의 경우에도 '비정형 형태의, 계속해서 쌓이며, 다양한 혹은 대...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