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정신병원의 정서적환경2024.10.011. 정신병원의 물리적 환경 1.1. 병동 구조 및 시설 병동 구조 및 시설은 다음과 같다. 병원 2병동은 총 102침상 중 100명의 환자가 입원 중이며 12개의 병실을 가지고 있다. 이 중 10개는 침대형, 2개는 마루형이다. 복도는 일직선으로 이어져 있어 사각이 없도록 하였으며 각 복도 끝 쪽에는 화장실이 하나씩 위치해있어 이용이 용이하도록 되어있다. 중앙로비와 복도를 모두 감시할 수 있도록 간호사실이 위치해있다. 중앙로비에는 정수기와 TV 두 대, 탁구대 등 운동시설과 온돌형 마루가 있어 환자들로 하여금 중앙로비에서...2024.10.01
-
정신간호영역에서의 다학제팀간의 역할2024.11.041. 정신간호영역에서의 다학제팀간의 역할 1.1. 정신과 각 단위의 환경 1.1.1. 폐쇄병동 폐쇄병동이란 환자의 안정을 위하여 적극적인 보호와 관찰이 이루어지는 병동으로 외부에서 병동으로의 출입이 제한되어 자유로운 활동이 다소 제한 될 수 있다. 폐쇄병동의 입원은 주로 환자가 자신이나 타인을 해칠 위험성을 가지고 있거나, 자신의 위생 및 건강에 대한 관리를 전혀 하지 못할 정도로 장애를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환자의 환경이 환자를 보호해주지 못할 때 시행된다. 폐쇄병동은 수용적인 의학적 병동체제로 환자의 일차적 증상의 완...2024.11.04
-
정신건강간호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협력2024.10.151. 정신 건강 분야에서의 협력 1.1. 정신과 의사의 역할과 책임 정신과 의사는 정신 건강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문의로서, 주된 역할과 책임은 다음과 같다.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정신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분석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린다. 이를 위해 DSM-5와 같은 표준화된 진단 기준을 활용하여 정신 질환의 유형과 중증도를 파악한다.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적절한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처방하고 관리한다. 약물치료의 경우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맞는 약물을 선택하고,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2024.10.15
-
임상심리학자의 수련모델2024.11.061. 임상심리학의 개관 1.1. 한국 임상심리학자의 양성과정 한국에서 임상심리학자는 주로 대학원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한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대학원들은 학부 졸업 후 바로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학부 졸업 후 곧바로 임상심리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은 미국 및 캐나다 등지로 유학을 가거나 외국인 교수에게 수업을 듣는 방법밖에 없다. 그러나 최근 들어 몇몇 대학원에서도 학부 졸업 후 1년 정도의 인턴쉽 기간을 거쳐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을 취득...2024.11.06
-
정신건강임상심리사2024.11.221.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가들과 역할 1.1. 정신과 의사 정신과 의사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전문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사이다. 이들은 정신 장애와 스트레스와 연관된 다양한 신체 질환에 대한 예방적 접근을 한다. 정신과 의사는 환자와의 정신과적 면담, 정신상태 검사, 다양한 심리검사 및 뇌기능 검사를 비롯한 여러 진단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관련 질환 및 정신 장애의 내용과 정도를 진단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약물을 포함한 각종 생물학적 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 및 부부치료, 환...2024.11.22
-
임상심리사1급2024.09.031. 정신보건분야의 전문 인력 1.1. 정신간호사 1.1.1. 일반 정신간호사 일반 정신간호사는 4년제 정규 간호대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사나 전문학사 출신으로, 국가시험을 거쳐 면허증을 취득한 자로서 의료법에 의한 간호사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일반 정신간호사는 정신과 기관에서 환자의 건강회복·증진·재활을 위해 일반적인 간호를 담당한다. 대상자의 생물·심리·사회·영적 차원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간호를 제공하며, 간호진단을 활용한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일반 정신간호사는 치료적 환경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건강을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