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딥러닝2024.09.291.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의 개요 1.1.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의 관계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모방하여 학습, 추론, 문제 해결 등의 지적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인공지능의 영역 안에 머신러닝과 딥러닝이 포함되어 있다. 머신러닝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스스로 학습하고 예측하는 기술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내어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어 개와 고양이의 사진을 분류하는 데 있어 기존의 인공지능은 개와 고양이의 특성을 프로...2024.09.29
-
생체칩 아이디어2024.11.181. 사이보그 기술의 현재와 미래 1.1. 사이보그의 대상과 범위 사이보그의 대상과 범위는 인류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보그의 어원인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Organism)의 합성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이보그의 대상은 생물 그 자체이다. 세계 동물 권리 선언에 따르면 모든 동물의 삶은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므로, 의공학을 통한 의료 기술의 혜택 대상을 인간으로만 한정시킬 필요가 없다. 신체적 장애가 있는 동물 또한 사이보그의 대상으로서 치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자 차이가 불과 1.6%...2024.11.18
-
의료 분야 정보시스템에 활용 시 윤리적 딜레마2024.10.191.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1.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4차 산업혁명은 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과 기계화로 대표되는 1차 산업혁명에 이어,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본격화된 2차 산업혁명, 1969년 인터넷이 이끈 컴퓨터 정보화 및 자동화 생산시스템이 주도한 3차 산업혁명에 이어 등장한 새로운 산업상의 변화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봇이나 인공지능(AI)을 통해 실제와 가상이 통합돼 사물을 자동적·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 물리 시스템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IoT...2024.10.19
-
3d 프린터 교육 자료2024.09.061. 3D 프린터의 개요 1.1. 3D 프린터의 개념 3D 프린터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3D 프린터는 인쇄 기자재 중 하나로 3D 데이터를 적층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3D란 3차원 입체를 의미하며, 이는 기존의 2D 프린터가 종이나 사물 표면에 이미지를 그려내는 것과 달리, 입체적인 사물을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1984년 미국의 발명가 찰스 홀(Charles W. Hull)은 3D 시스템즈사를 설립하고, 액체수지를 이용해 층층이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출력물이 단단하게 만들어지는 자동화 기술의 특허를 받았다. 이것이 바로 ...2024.09.06
-
인공지능과 의료윤리2024.08.241. 서론 1.1. 배경 인공지능은 현대 사회에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계가 사람의 지능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은 진단, 예측, 치료, 의료 관리, 의사 결정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대량의 의료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의사와 의료진이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의료 분야에서의 진단과 치료의 정확...2024.08.24
-
자동적 처리가 여러분이 처한 어떤 상황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을 경우, 그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관해 설명하시오2024.08.291. 서론 1.1. 자동적 처리의 중요성과 부정적 결과 자동적 처리는 현대 사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간의 인지적 구조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는 자동적 처리는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복잡한 과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데이터 분석, 업무 자동화, 의사 결정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며,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적 처리는 때때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자동화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편향된 알고리즘으로 인...2024.08.29
-
동물 의료사고 신문고2024.08.311. 자연모방기술 사례 1.1. 녹색 형광 단백질의 발견과 생명공학적 응용 1962년 일본의 해양생물학자 시모무라 오사무(Shimomura Osamu)는 발광평면해파리(에쿠오리아 빅토리아, Aequorea Victoria)의 형광 물질을 연구하는 도중에 "녹색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1969년 존 우들랜드 해스팅스(John Woodland Hastings)와 제임스 모린(James G. Morin)이 이 단백질을 "녹색 형광 단백질(GFP)"이라고 명명하였다.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