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개
-
자연분만 산후출혈 간호 케이스2024.09.17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의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질식 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산후출혈은 산모의 적혈구 용적률이 10%가 감소하거나 분만 전 수치보다 감소 또는 혈류역학적인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과다출혈로 수혈이 필요한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1.2. 원인 1.2.1. 자궁이완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는 단단하게 수...2024.09.17
-
전치태반 간호과정 심박출량감소2024.09.241. 전치태반과 제왕절개 1.1. 전치태반의 정의 전치태반이란 태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궁출구를 막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태반은 자궁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전치태반에서는 태반이 자궁하부에 자리잡아 출산 시 출구를 막게 된다. 전치태반은 출산 과정에서 심각한 출혈을 유발할 수 있어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중 전치태반으로 진단되면 즉시 제왕절개술을 통한 출산이 필요하다. 1.2. 전치태반의 원인 전치태반의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2024.09.24
-
간호사 lab2024.09.211. 신규간호사를 위한 필수 공부 1.1.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1.1.1. 검사목적 및 적응증 CBC는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신체검진 시에 특히, 건강관리기관으로 입원 시나 수술 하기 전에 필수적이다. 또한 조혈장애, 신생물, 면역학적 소견이 의심스러울 때, 조혈 비성장의 유전적 소견이 있을 때,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약물치료에 대한 기대되는 효과와 혈액장애를 일으키는 약물 부작용을 모니터하기 위해, 만성폐쇄성 폐질환, 흡수부전 ...2024.09.21
-
태반조기박리 간호진단2024.11.051. 태반조기박리 1.1. 정의 태반조기박리란 임신 20주 이후 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이 태아 만출 전에 자궁에서 부분적 또는 완전히 박리되어 떨어지는 것이다."" 1.2. 원인 태반조기박리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태반조기박리 위험인자 중 가장 큰 것은 고혈압이다. 이는 자궁 나선 세동맥의 선천적 결함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생률은 초임부에 비해 5회 이상의 경산부가 3배 높고, 생식기관의 소모경력(유산, 조산, 산전출혈,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이 있는 여성이 2배 높다. 코카인 복용도 혈관파열을 초래하므로 위험요인이 될 ...2024.11.05
-
식도정맥류 간호과정과 간성혼수 케이스 연구2024.10.311.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의 간호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저번처럼 기침할 때 침이랑 피가 같이 섞여서 나왔어요."라고 하면서 전에 입원했을 때보다 피가 더 많이 나왔다고 호소하였다. 또한 최근에 술을 많이 마셔서 그런 것 같다고 말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내시경 검사 결과, 활력징후, 혈액 검사 결과, 복부 초음파 검사 결과, CT 검사 결과 등을 포함한다"" 내시경 검사 결과는 "E.Varix, F3CbLm RCS(+)"로 식도정맥류가 확인되었다"" 활력징후는 혈...2024.10.31
-
간경화 성인간호케이스 진단2개2024.10.181. 간 경변증(Liver Cirrhosis) 1.1. 간의 기능 및 구조 간은 신체에서 오른쪽, 위쪽 복강 내에 위치하고 있는 커다란 장기로서 성인에서는 그 무게가 약 1.5Kg이다. 정상적인 간은 육안적으로 붉은 색조를 띠고 있으며 표면은 매끈하다. 그러나 술을 많이 마셔서 간에 기름기가 쌓이게 되면 간의 크기가 커지며 기름기에 의해 노란 색조를 띠게 된다. 반대로,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간의 크기가 줄어들고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변한다. 간은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2024.10.18
-
울혈성 심부전 간호진단2024.09.281.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1.1. 폐부종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폐부종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이란 심부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주된 증상으로, 폐 내 과도한 체액 축적으로 인해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가스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심부전 환자의 경우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체내 체액이 폐로 역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 내 체액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가스교환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2024.09.28
-
외상성경막하출혈2024.11.2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외상성 경막하 출혈은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 안쪽 뇌혈관이 터져 뇌경막 아래쪽으로 피가 고이는 질환이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교통사고와 추락사고가 있다. 이 질환은 연령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마비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필요성은 외상성 경막하 출혈이 발생 가능시기와 원인을 막론하고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뇌 질환이기 때문이다. 특히 본 사례와 같이 낙상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일어나므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2024.11.25
-
백혈병 출혈 위험성 관리 간호2024.10.251. 간호 진단 및 간호 계획 1.1. 혈소판 감소로 인한 응고 장애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1.1.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에는 대상자의 진술인 "어제 코피가 났어요." 와 "어디 부딪힌 데도 없는 것 같은데 멍이 잘 생겨요."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코피와 멍이 자주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객관적 자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진단명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을 진단받아 관해 유도를 위한 항암요법 중임을 알 수 있다. 2) 구강 간호 시 잇몸 출혈...2024.10.25
-
자간전증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압 위험2024.10.251. 임신성 고혈압 1.1. 정의 임신성 고혈압이란 혈압이 정상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 140/90mmHg 이상 혈압이 높아지고 단백뇨나 부종이 나타나거나 관련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자간전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자간전증은 착상 이후 태아 발달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영양막세포가 모체 내로 잘 침투되지 않아 태반으로의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겨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산모와 태아의 혈관에 손상이 생겨 다양한 증상이 발생한다. 또한 산모의 비만, 당뇨, 유전...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