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기본간호학-혈액응고이상과 순환장애 및 간호2024.09.251. 혈액 응고이상과 순환장애 1.1. 지혈(Hemostasis) 1.1.1. 출혈이 멈추는 현상 출혈이 멈추는 현상이란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혈액 응고 체계가 관여하여 출혈이 자연스럽게 멈추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혈관 수축이 일어나 출혈 부위의 혈관을 좁게 만든다. 이를 통해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한다. 둘째, 손상된 혈관 부위에 혈소판이 부착되고 ADP와 TXA2와 같은 물질을 분비하여 주변 혈소판을 모아 일차 지혈 栓을 형성한다. 셋째, 조직인자가 방...2024.09.25
-
수혈 혈액 종류와 간호2024.11.091. 수혈의 정의 1.1. 수혈의 정의 수혈(Blood transfusion)은 공여자(donor)로부터 수혜자(recipient)에게 전혈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 등과 같은 혈액의 특정 구성성분을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혈액은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며,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분된다. 이때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외한 부분을 혈장이라고 한다. 수혈은 정맥 내로 혈소판, 적혈구, 혈장과 같은 혈액 성분이나 전혈을 주입하는 행위로, 전통적으로 수혈이라는 용어는 전혈의 주입을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혈액의 각...2024.11.09
-
혈장 분리 목적2024.11.061. 혈액의 구성과 성분 1.1. 혈장 혈장은 혈액 속의 유형 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제외한 액체 성분으로,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액은 옅은 노란색을 띠고 있는데, 이는 혈액 속에 포함된 혈장 때문이다. 혈장에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혈액 응고 인자, 전해질, 영양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혈장은 채혈 후 즉시 혈액 응고 저해제를 가하거나 저온에 유지하여 응고의 진행을 억제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징액인 담황색의 혈장을 얻는다. 이때 응고 저지 조작의 차이에 따라 헤파린 혈장, 옥살산 혈장 등으로 구분된다...2024.11.06
-
혈우병 치료2024.08.281. 혈우병의 개요 1.1. 혈우병의 정의 혈우병이란 응고인자의 결핍이나 결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적 혈액응고장애 질환이다. 결핍된 응고인자 종류에 따라 혈우병A(응고인자VIII 결핍), 혈우병B(응고인자IX 결핍), 혈우병C(응고인자XI 결핍) 등이 있다. 성염색체열성으로 유전하기 때문에 대부분 남아에서만 볼 수 있지만, 전체 혈우병의 20 - 30%정도는 가족력 없이 개체 돌연변이에 의해 나타난다. 혈우병의 종류를 응고인자의 농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정상인의 혈액 내 응고인자 농도를 100%로 하였을 때 1%이하를 중증...2024.08.28
-
간경화 출혈 위험성 간호과정2024.09.021. 간 1.1. 간의 해부학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1200g~1500g의 무게가 나간다. 간은 횡경막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간낫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뉜다. 간에는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에서 간으로 전달해주는 간동맥과, 영양분과 대사물질 및 해독이 필요한 독소 등을 운반하는 문맥 혈관이 주요혈관이다. 간을 구성하는 세포는 간실질을 구성하는 간세포, 담관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인 담관세포가 있고 이외에 이물질을 포식하는 기능을 가진 쿠퍼세포 등이 있다." 1.2. 간의 주요기능 간의 주요기능은 다음과...2024.09.02
-
투석 헤파린2025.01.261. 투석 헤파린 1.1. 혈액 응고의 메커니즘 혈관이 손상되면 혈소판 활성화 과정이 일어나서 혈소판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혈소판은 ADP나 thromboxane과 같은 물질을 분비하고 서로 붙어 글라이코프로테인이 발생한다. 이때 fibrinogen이 응집하여 혈액응고가 시작된다. 또한 혈관 손상은 조직 인자(tissue factor)를 노출시키게 되고, 이 조직 인자는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활성화시킨다. 이 thrombin은 fibrinogen을 fibrin으로 전환시켜 혈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