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낙상 FMEA2025.03.281. 고위험 프로세스 선정 1.1. 환자안전사고 분석 2022년 상반기 환자안전사고 분석 결과, 총 8건의 사고 중 5건이 낙상으로 인한 오류였다. 이에 향후 환자에게 해로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낙상'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잠재적인 위험으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FMEA 진행하기로 하였다. 2022년 상반기 환자안전사고 보고 현황을 살펴보면, 근접오류가 5건, 위해사건이 3건으로 총 8건이 발생하였다. 이 중 5건이 낙상으로 인한 사고였다. 이는 환자안전사고 발생 중 64.3%를 차지하는 높은 비율이다. 또한 위...2025.03.28
-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 활동 보고서2025.06.091.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 활동 보고서 1.1. 개선 활동 추진 배경 0000년도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활동 추진 배경 00년도 감염관리 위원회의 본원 Risk Assessment tool의 선정 결과, 손위생 수행률, 다제내성균 원내 전파 위험, 부적절한 환경 관리가 높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손위생 수행률의 낮음(75%)으로 인해 병원 내 감염발생률이 증가하여 교차 감염 위험과 환자 안전 저하 위험이 증가하였다. 또한 다제내성균 원내 전파 위험의 증가로 인해 원내 의료관련감염 발생률 증가, 환자 회복 지연, 사망률 증가...2025.06.09
-
투약오류 FMEA 보고서2025.06.191. 고위험 프로세스 선정 20??년도 환자 안전사고 보고서의 근접오류 사고를 분석한 결과, 낙상과 관련된 보고가 전체의 64.3%를 차지하였으며, Risk Score 역시 12점으로 낙상이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20??년도 FMEA 주제는 낙상으로 선정하였다. 2. 팀 구성 병원장이 팀장을 맡고 있으며, QPS 전담자가 간사로 활동한다. 팀원으로는 간호팀장, A병동 수간호사, B병동 수간호사, C병동 수간호사, 재활치료 팀장, 원무팀장이 참여하고 있다. 필요 시 시설팀의 회의 참석도 요청할 수...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