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루미놀 실험 보고서2024.09.151.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 1.1. 화학발광의 정의 화학발광이란 특정한 화학종이 일련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electromically excited state)로 전이(transition) 된 후 다시 바닥상태(ground state)로 이완(relaxation) 될 때 여분의 에너지를 열에너지가 아닌 빛에너지로 방출하는 현상이다.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이 들떠 발광하거나, 들뜬분자 또는 들뜬원자가 함께 존재하고 있는 다른 분자나 원자에 충돌하여 이것을 들뜨게 하여 발광시키는 경우 등이...2024.09.15
-
부경대 화학2024.10.071. Luminol의 화학발광 1.1. 사용되는 시약 및 실험기구 1.1.1. 시약 Luminol은 3-aminophthalhydrazid의 화학식을 가지며, 분자량은 177.16g/mol이고 녹는점은 592K이다. Luminol은 화학발광 실험에 사용되는 주요 시약 중 하나이다. NaOH(수산화나트륨)는 화학발광 실험에서 Luminol 용액을 염기성으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NaOH의 분자량은 39.9971g/mol이고, 밀도는 2.13g/이며, 녹는점은 596K, 끓는점은 1661K이다. HCl(염산)은 Luminol...2024.10.07
-
비누제조 실험2024.10.061. 비누의 역사와 특성 1.1. 비누의 역사 비누의 역사는 인류가 비누를 사용해 온 역사가 매우 길지만, 오랫동안 비누는 상류층만 사용하는 사치품에 불과했다. 이러한 한계는 18세기 프랑스 화학자 르블랑에 의해 돌파되었다. 1775년에 과학아카데미는 세탁용 소다에 대한 공모과제를 내걸었고, 르블랑은 1789년에 세계 최초로 인공소다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르블랑 공법은 19세기 전반에 세탁용 소다를 생산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비누의 대중화와 공중보건의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그 후 1863년에는 솔베이 공법이 등장하여 르블랑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