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약리학 총론 정리2024.10.211. 약리학 총론 1.1. 약리작용의 종류 약리작용의 종류에는 흥분작용과 억제작용,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전신작용과 국소작용, 일반작용과 선택작용, 주작용과 부작용이 있다. 흥분작용은 생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기능이 증강되거나 촉진되는 것을 말하고, 억제작용은 기능이 저지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직접작용은 투여된 약물의 작용 중 그 물질이 생체에 직접 작용하여 초래되는 효과이고, 간접작용은 직접작용의 효과에 의해 다른 효과도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전신작용은 약물이 전신으로 흡수되어 전신순환을 거쳐 모든 조직, 장기에 대해 ...2024.10.21
-
적분 연구 동기2024.11.091. 리만적분과 르베그 적분의 비교 1.1. 리만적분 1.1.1. 리만상합과 리만하합 리만상합과 리만하합은 리만적분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리만상합은 정의역을 유한한 개수의 구간으로 나눈 뒤 각 구간의 오른쪽 끝점에서의 함숫값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넓이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더한 값이다. 반면에 리만하합은 각 구간의 왼쪽 끝점에서의 함숫값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넓이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더한 값이다. 리만상합과 리만하합은 분할되는 구간의 길이가 0으로 수렴할 때 수렴하는 값이 동일하면 이를 리만적분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2024.11.09
-
소아마취2024.11.131. 소아마취 1.1. 해부생리학적 성장 및 발달 1.1.1. 출생 전 후 심폐혈관계의 발달 태아의 순환은 출생 전 태반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며 좌, 우심실이 연합순환(parallel circulation)을 한다. 태아의 폐포는 액체로 채워져 있어 폐포와 공기의 접촉을 방해하고 폐혈관을 눌러 혈관 저항을 증가시킨다. 태반에서 산소화 된 혈액은 제대정맥을 통하여 약 반은 간으로 가고 나머지 반은 하대정맥으로 들어간다. 우심방의 혈액은 약 1/3이 타원구멍(foramen ovale)을 통하여 좌심방으로 가며 좌심방에서 폐를 돌...2024.11.13
-
지수함수 반감기2024.11.141. 지수함수로 보는 타이레놀의 혈중 농도 차이 1.1. 주제 선정 동기 수학1 자유과제3에서 지수함수의 활용문제를 만들었을 때 나의 진로분야인 약학과 관련된 수학 공식을 찾아보다가 지수함수를 이용한 약물의 혈중 농도 공식을 알게 되었고, 이를 사용해서 타이레놀의 흡수에 관한 문제를 만들고 변형했었다. 당시 내용을 조사할 때보다 좀 더 자세하게 비교하고 싶어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연구 내용 1.2.1. 약물의 혈중농도 그래프 약물의 혈중농도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약물의 성분 농도를 나타낸다. 약물을 섭취한 후 혈...2024.11.14
-
약리학 문제2024.11.081. 약물의 특성과 분류 1.1. 약물의 일반명, 상품명, 화학명 약물의 일반명, 상품명, 화학명은 의약품을 구분하고 약물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다. 일반명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명칭으로 화학구조나 약리 작용을 반영하며, 상품명은 제약회사가 지정한 상업적 명칭이다. 화학명은 약물의 화학 구조와 조성을 나타내는 명칭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을 추측할 수 있다. 이처럼 세 가지 명칭은 약물 정보를 제공하는 데 각자의 역할을 한다. 일반명은 약물의 성분과 작용을, 상품명은 약물의 상품화 정보를, 화학명은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내...2024.11.08
-
미적분 약2024.11.041. 미적분을 통한 삶의 이해 1.1. 미적분의 일상적 활용 1.1.1. 미적분이 숨어있는 일상의 이해 미적분은 일상생활 속 어디에나 숨어있다. 우선 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함수의 개념부터 살펴보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현상들은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태양이 떠오르는 시간, 전기 제품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 커피의 온도 변화 등 주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많은 사례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함수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배운 미분과 적분은 이러한 일상 속 현상들과 어떻게...2024.11.04
-
혈중약물농도2024.11.041. 약물의 혈중농도와 수학적 모델링 1.1. 약물동태학과 혈중농도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s)은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출되는 과정을 수학적 모델로 해석하여 약물의 혈중농도나 반감기, 축적되는 양 등을 예측하는 학문이다. 이는 약물 투여량과 투여 간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약물이 투입되면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시간에 따라 혈중농도가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약물 흡수가 활발한 초기에는 혈중농도가 빠르게 상승하다가, 약물의 대사 및 배출이 본격화...2024.11.04
-
적분 약물 혈중 농도2024.11.041. 약물 혈중 농도와 그래프 분석 1.1. 약물동태학의 이해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s)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 같은 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약물의 체내 동태를 이해하는 학문이다. 약물동태학의 주요 연구 분야는 약물 농도와 시간의 관계, 약물 농도 변화의 수학적 해석, 약물 반감기와 클리어런스 등의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 산출, 약물 간 상호작용 등이다. 이를 통해 약물 농도와 약효 및 독성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최적의 투여 방법을 설계할 수 있다. 약물의 체내 동태는 투여...2024.11.04
-
적분을 통한 농도 구하기2024.11.221. 약물의 혈중농도 이해 1.1. 주제 선정 동기 지난 수학1 시간에 약물의 혈중농도 그래프와 관련한 탐구를 진행했었는데, 화학2 수업과 미적분 수업을 들으며 당시에 어떻게 식이 유도되었는지 몰랐던 혈중농도 식과 그래프를 수학적으로 접근해볼 수 있을 것 같아서 이를 주제로 탐구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특히 저번에 조사한 반감기 공식이 동아리 활동 때 증명했던 수식과 연관되어 있는 것 같아서 이 주제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1.2. 약물동태학 약물동태학은 약물의 흡수와 분포, 대사와 배설에 이르는 과정을 함수로 해석하여 약물의 ...2024.11.22
-
적분 약물2024.11.121. 약물의 혈중농도와 적분 1.1. 약물동태학 약물동태학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이르는 과정을 수학적 모델로 해석하여 약물의 혈중농도나 반감기, 축적되는 양 등을 예측하는 학문이다. 약물동태학에서는 혈중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 소실속도상수(k), 반감기(t1/2), 분포용적(Vd), 클리어런스(CL) 등의 약동학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약물의 체내 거동을 해석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약물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약물의 흡수 정도를 나타내는 AUC는 약물치료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