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국십진분류법 장단점2024.11.191. 서론 정보자료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어디에 어떤 자료가 있는지 찾기 위해 분류하고 이를 기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존 최고의 목록인 초조대장목록부터 해동문헌총록, 모리스 코랑의 조선서지 등 서지분류에 의한 목록으로 자료를 분류하다가 일제강점기 때부터 근대적인 분류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부터에 만들어진 조선십진분류법(KDCP)에 거쳐서 우리나라에 맞는 분류법을 도입하고자 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한국십진분류법(KDC)이다. 한국십진분류법은 한국도서관협회에서 1964년 5월 31일 초판을 낸 이후로 개정판을...2024.11.19
-
kdc와 ddc 비교2024.11.201. 주요 자료 분류표 특징 비교 1.1. 역사 DDC(듀이십진분류법)는 1876년 미국 암허스트대학의 멜빌 듀이가 초판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1876년 당시 듀이는 대학 도서관 사서로 재직 중이었는데, 당시 도서관들이 대부분 사용하던 문자기호법보다 십진식 기호법이 보다 잘 작동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그는 도서관 장서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복잡한 문자기호법으로는 도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어려워졌다고 판단하였다"". 듀이는 당시 프랜시스 베이컨의 지식체계 분류론과 조셉 그린리프 스미스의 열거방식 분류를...2024.11.20
-
ddc 23판2024.11.301. 주요 자료 분류표 비교 1.1. 분류표 개요 1.1.1. 분류표의 정의와 역할 분류표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정리하여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이다. 분류표의 정의는 "문헌 자료를 주제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고 번호를 부여하여 자료의 검색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분류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류가 지속적으로 축적해온 지식을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지식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둘째, 자료의 용이한 검색과 관리를 통해 학문으로 표현될 수 있는 ...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