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판매시설 안전관리자2025.02.101. 서론 1.1. 보건소 안전관리자의 역할과 책임 보건소 안전관리자의 역할과 책임은 다음과 같다. 식품에 다양한 위해요소가 존재하므로 식품 사업가는 경제성뿐만 아니라 식품의 안전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식품 사업가는 영업장 환경 및 시설의 청결 유지, 위생복 착용, 종업원 건강 관리, 원자재 관리, 운송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HACCP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신선채소 판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안전성 문제로는 미생물 번식, 자연독성,...2025.02.10
-
영양사 직무수행 계획서 식품위생 예시2025.06.231. 서론 1.1. 영양사 직무의 이해 영양사는 일반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일을 확장한 형태의 직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급식운영계획을 장기적이고 상세히 수립해야 하며, 구매와 재고관리, 위생과 안전관리에 큰 책임감을 지녀야 한다. 또한 조리원 등의 인력 및 작업을 관리하고, 부서장이 강조하는 사안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물적자원 관리능력, 시간 관리능력, 재정 관리능력, 품질관리 능력, 지도능력, 업무협조능력 등이 필요하다. 영양사로서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능력을 발휘하고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2025.06.23
-
위생지표2025.04.131. 위생지표 세균의 개념과 중요성 1.1. 위생지표 세균의 정의 위생지표 세균은 식품의 위생 상태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세균이다. 식품에 대한 세균 검사의 목적은 식품의 위생성, 보존성(저장성),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중 생균수의 측정으로 위생성과 보존성은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안전성 여부는 병원성 세균의 존재 여부로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병원성 세균을 검사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적 제약으로 불가능하므로, 병원성 세균의 지표가 되는 세균을 선정하여 이를 검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식품의 안전성을...2025.04.13
-
해썹 위생교육 자료2025.04.081. HACCP의 개념과 역사 1.1. HACCP의 개념 HACCP의 개념은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해 식품의 원재료 생산, 제조, 가공, 보존, 유통을 거쳐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식품을 섭취하기 직전까지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섞이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한 요소를 확인하고 평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이다. HACCP은 최종 제품을 검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개념이 아니라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의 전 과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제품 또는...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