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Vasopressor inotropics2024.09.271. 약물의 작용기전과 분류 1.1. 교감신경계 수용체의 작용 교감신경계 수용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α 수용체는 혈관과 위장관에 작용하여 혈관수축, 자궁수축, 위장 평활근 이완, 췌장과 인슐린 분비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그중 α1 수용체는 혈관, 위장관에 작용하여 혈관수축과 자궁수축을 유발하고, α2 수용체는 췌장과 근육 혈관에 작용하여 혈관수축과 인슐린 분비 억제를 유발한다. β 수용체는 심장과 기관지, 혈관에 작용한다. β1 수용체는 심장에 작용하여 심장의 수축력, 자극전도, 심박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2024.09.27
-
자료판매2024.10.131. 서론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체 뇌졸중의 8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위험한 질환이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사망 원인을 차지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또한 사망에 이르지 않더라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이 남게 된다. 현대인들은 흡연, 음주, 서구식 식습관, 스트레스 등의 생활양식과 고혈압, 당뇨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어 뇌경색이 발병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누구나 가지고 있다. 또한 뇌경색의 전조증상으로 얼굴이나 팔, 다리 등에 국소적으로 마비가 오거나 어지러움을 동반한 심한 두통이 증상...2024.10.13
-
패혈성쇼크 및 폐렴 중환자실 케이스2024.10.141. 전반적 사례 개요 1.1. 환자 기본정보 환자 기본정보는 다음과 같다. 최ㅇㅇ 환자는 78세 남성으로, 2019년 9월 29일 영덕대게를 먹고 발열,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 응급실을 경유하여 9월 30일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혈압은 110/70mmHg, 맥박은 112회/분, 호흡수는 24회/분, 체온은 38.0도의 활력징후를 보였으며, 혼미한 의식 상태였다. 환자는 기도 삽관, 기계 환기 요법, 우측 중심정맥 도관, 비위관, 요도 도뇨관 등 다양한 처치를 받고 있었다. 과거력으로는 2001년과 2005년에 뇌졸중 진단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