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세포배양 cell culture2024.09.261. 세포 배양 1.1. 실험 목적 세포 배양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 주기와 세포배양법을 익히는 것이 실험 목적이다. 또한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계산할 수 있다."세포배양은 동물이나 식물로부터 체취한 세포를 인위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말한다. 세포배양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배양액인데 본실험에서는 DMEM이 배양액이었는데 이는 세포가 필요로하는 모든 영양물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세포배양에는 특수한 용기, 온도, 습도, 영양소 등의 배양 조건이 필요하며, 계대배양은 제한된 배양접시 내에서 세포...2024.09.26
-
식물 세포배양 cell culture2024.09.261. 세포배양 실험의 이해 1.1. 세포배양의 개요 세포배양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세포배양은 생물체의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배양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in vitro(생체 밖)에서 in vivo(생체 내)와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는 배양을 가리킨다. 세포들은 유리세포 집단으로 생체에 주입하여 이식하거나 분자는 통과시키지만 세포를 통과시키지 않는 막으로 덮인 소실(확산실)에 세포를 가둬 생체 속에 넣어 배양할 때는 in vivo(생체 내) 배양이라고 한다. 세포배양은 몇 번이고 다시 옮겨 배양하여 분열을 되풀이시킨 세포(...2024.09.26
-
세포생리학실험 - 세포 배양 및 유전자 추출2024.10.011. 서론 1.1. 세포배양의 개요 세포배양이란 넓은 의미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들 중 동물, 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와 미생물들을 생체조직이 아닌 영양물, 전해질, pH,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 습도 등 요건이 충족된 인공배지에서 증식하게 하여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 기능에 관한 연구, 각종 질환의 진단 및 관련 유전인자의 확인, 치료목적의 유용한 물질의 개발과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기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1.2. HEK293T 세포주 HEK293T 세포주는 인간 배아 신장 세포에 아데노바이러스 5번 ...2024.10.01
-
생명공학기술 사례2024.10.131. 천연 천식치료제 개발 1.1. 개발배경 천연 천식치료제 개발의 개발배경은 다음과 같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면역제어연구실 이형규 박사는 지난 4년간 과학기술부 선도기술개발사업(G-7)의 지원(10억원)을 받아 기존 약물이 갖고 있는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천식치료제를 개발하였다. 세계적으로 천식 환자수가 급증하여 WHO 통계("95년)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의 10%인 2억 5천만 명이 천식을 앓고 있으며, 천식 치료제 시장규모도 "97년 36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89억 달러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국내에서도 ...2024.10.13
-
CHO cell 배양2024.10.101. 세포배양의 개요 1.1. 세포의 특성 세포는 핵의 존재 유무에 따라 크게 원핵세포(prokaryote)와 진핵세포(eukaryote)로 나뉜다. 원핵세포에는 핵막이 없으며 유전체가 단순하고 세포소기관이 없는 반면, 진핵세포에는 핵막이 있고 유전체와 세포질이 구분되어 있으며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모든 세포는 에너지 대사, 복제 등의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공통적으로 수행하지만, 세포의 종류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신경세포는 신호 전달을 담당하고, 근육세포는 수축과 이완을 통해 운동을 일으키...2024.10.10
-
고체 배지 만들기 실험 결과2024.11.111. 실험 개요 및 이론 1.1. 원핵세포의 특징과 배양 원핵생물은 진핵생물과는 달리 핵막이 없고 리보솜과 DNA가 세포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생물을 말한다. 원핵세포는 하나의 세포만으로 이루어진 단세포이며, 원핵생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원핵세포는 진핵세포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작다. 핵막이 없어 유전물질인 DNA가 세포질 내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 리보솜은 진핵세포보다 작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와 같은 세포소기관이 없다.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2024.11.11
-
세포배양 기초2024.08.211. 서론 1.1. 세포배양의 개념과 중요성 세포배양이란 생물의 조직이나 기관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적당한 배양액 속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말한다. 세포배양은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세포배양은 생물체 조직의 특성과 기능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실험실 환경에서 동물이나 식물의 특정 세포를 분리, 배양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운 세포의 대사과정, 신호전달 기작, 유전자 발현 등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체 내 세포활동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세포배양 기술은 ...2024.08.21
-
세포배양 이론2024.08.211. 서론 1.1. 세포배양법과 단백질정량법의 이해 세포배양법은 다세포 생물에서 분리한 세포를 특수한 용기 내에서 성장 및 보존하는 방법이다. 특수한 용기, 온도, 습도, 영양소 등의 배양조건이 필요하며,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세포는 배양접시의 바닥에 한 층으로 붙어서 자라게 되는데, 세포의 증식이 멈추게 되면 새로운 배양접시로 옮겨 계대배양을 하게 된다. 세포배양배지는 동물 세포 배양에 필요한 까다로운 환경조건과 수많은 생장인자를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인 세포배양배지로는 DMEM(Dulbecco's modifie...2024.08.21
-
세포배양 실험2024.08.211. 서론 1.1. 세포배양의 기초와 배경 세포배양의 기초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생물체의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는 것을 세포배양이라고 한다. 세포배양을 통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다. 식물에서는 캘러스(유합조직)의 일부를 액체배양하거나 동식물의 종양 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흔한데, 이렇게 배양된 세포군은 경우에 따라 하나의 개체로 성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F.C.스튜워드는 당근의 1개 세포를 배양하여 완전한 당근 개체를 얻었고, W.R.튜레크는 은행나무 화분을 세포배양하여 수...2024.08.21
-
한천확산2024.08.291. 세포독성(Cytotoxicity) 1.1. 세포독성이란? 세포독성이란 살아있는 포유류 세포(mammalian cell)를 이용하여 체외(In vitro)에서 의료기기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포유류 세포를 대상으로 한 세포독성 시험 방법에는 용출물 시험(extract test), 직접 접촉법 시험(direct contact test), 간접 접촉법 시험(indirect contact test)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국제 규격으로 ISO 10993-5: 2009, ISO 7405: 2018, I...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