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미생물학실험] 배지제작과 멸균법 A2024.09.261. 서론 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세균의 증식, 보존, 수송 등을 위해 사용되는 액체 또는 고형의 재료인 배지를 제조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배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번 실험을 통해 미생물의 배양을 위해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인 배지를 습열멸균하여 제조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1.2. 실험의 중요성 생장은 그 생물의 종에 따라 영양분의 적정 농도 외에도 산소 농도, 습도, pH, 온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주요 영양분은 단백질, 당질, 물과 비타민...2024.09.26
-
임상미생물학2024.10.061. 실험 목적 및 실험균주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6.5% NaCl BHI test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test를 통해 Genus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구별하는 것이다. Enterococcus faecalis는 Enterococcus 속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균종으로,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며 cephalosporin 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동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6.5% 식염 내성 여부와 bile...2024.10.06
-
미생물 배지 제조2024.09.191. 미생물 배양 및 배지 제조 1.1. 실험 목적 미생물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생물을 배양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배지(medium)를 사용한다. 미생물의 종류와 배양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영양 성분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배지의 종류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이번 실험의 목적은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영양요구조건을 파악한 뒤, 적합한 배지를 선택하여 제조하는 데 있다. 즉, 미생물의 종류와 배양 목적에 맞는 적절한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배지(Medium)의 ...2024.09.19
-
SS agar 에서 관찰되는 특징2024.10.091. 선택배지와 그람염색 1.1. 미생물 배양의 목적과 필요성 미생물 배양의 목적과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미생물 배양의 주된 목적은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을 실험실 환경에서 증식시켜 순수 분리된 균주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생리적 특성, 병원성, 유전형질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다. 또한 배양을 통해 의약품, 발효식품, 산업용 효소 등의 생산에 활용되는 유용 미생물을 확보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대부분 배양이 어려운 호기성 종속...2024.10.09
-
agar 배지 상에서 염색 시약을 통한 확산 관찰2024.10.121. 배지 및 미생물 1.1. 배지의 정의와 종류 1.1.1. 기초배지 기초배지는 영양 요구성이 엄격하지 않은 세균, 예를 들면 대장균과 같은 장내세균과의 세균을 발육시키는데 사용되는 보통 액체배지이며 이것을 한천으로 겔화시킨 보통 한천배지, 펩톤수 등이 있다. 펩톤수는 펩톤이 카제인, 젤라틴, 쇠고기, 효모 등의 단백질을 펩신 등의 효소 또는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건조분말로 한 것으로 아미노산, 펩티드를 주성분으로 한 것 이외에 펩톤 1%, NaCl 0.5%를 증류수 1,000ml에 용해하여 고압살균한 것이다. 보통육즙은...2024.10.12
-
획선 평판법을 이용한 균 접종2024.11.111. 미생물의 순수 분리 1.1. 순수배양(pure culture) 1.1.1. 순수분리 및 배양방법 1.1.1.1. 도말 평판법 도말 평판법은 페트리 접시에 만들어진 평판 고체배지의 표면에 독립적인 콜로니(colony)를 만드는 미생물 순수분리 방법이다. 이는 백금이를 사용하거나 유리 도말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도말 평판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clean bench 안에서 백금이를 화염 멸균하여 준비한다. 그 후 가열된 백금이 끝에 균을 묻힌다. 그리고 균이 묻은 백금이를 배지 표면에 가볍게 지그재그로 3선 ...2024.11.11
-
배지무균시험법2024.09.021. 배지의 종류와 특성 1.1. 배지의 주요 성분 1.1.1. 펩톤(peptone) 펩톤(peptone)은 카제인(casein), 동물의 근육 등의 단백질을 펩신(pepsin) 또는 트립신(trypsin), 팬크레아틴(pancreatin) 등의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작은 분자의 황색 분말이다. 펩톤은 단백질의 종류와 분해 방법에 따라 구성 성분에 차이가 있다. 카제인의 효소 분해물인 트립티케이스(trypticase), 카시톤(casitone), 트립톤(tryptone) 등은 트립토판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세균 대사에 필요한 탄...2024.09.02
-
미생물이 쉽게이용하는 영양원2024.08.271. 미생물의 배지와 배양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미생물은 매우 작고 단순한 생물로, 단세포나 다세포로 존재하며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구분된다. 원핵생물에는 세균과 고세균이, 진핵생물에는 진균, 식물, 동물 등이 포함된다. 미생물은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연구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미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배지이다.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으며, 대부분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미생물은 진정핵(진핵생물)과 원핵생물로 구분되는데, 진정핵생물에는 진균(곰팡이, 효모)과 원생생물이 포함되고, 원핵생물에...2024.08.27
-
미생물이 쉽게이용하는 영양원 3가지2024.08.271. 서론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미생물은 작다는 의미인 "micro"와 생물이라는 의미인 "organism"을 합한 용어로, 매우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이다. 미생물은 원생생물,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다양한 생물종을 포함하며, 유전적, 생리적, 생화학적, 생태학적으로 다양성을 보인다. 미생물은 원핵미생물과 진핵미생물로 나뉘는데, 원핵미생물은 핵산을 둘러싸고 있는 핵막이 없고 핵산이 세포질 내에 존재하며 대부분 단세포로 이루어진다. 주로 세균과 고세균 등이 원핵미생물에 포함된다. 진핵미생물은 막으로...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