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3개
-
유기화학 정리2024.10.151. 화학 결합 및 반응 1.1. 이온 결합 이온 결합은 서로 다른 원자가 전자를 얻고 잃음으로써 형성되는 결합이다. 대표적으로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 사이에서 관찰되는데, 금속 원소는 쉽게 전자를 잃어 양이온(cation)을 형성하고, 비금속 원소는 쉽게 전자를 얻어 음이온(anion)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강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이온 결합이 형성된다. 이온 결합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금(NaCl)을 들 수 있다. 소금의 경우 나트륨 원자(Na)가 전자 1개를 잃어 Na+ 양이온이 되고,...2024.10.15
-
요오드적정법 비타민-C 및 황산구리 분석2024.11.031. 비타민 C 정량 분석 1.1. 실험 목적 요오드 적정법(간접법)을 이용하여 비타민C 제품 내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C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즉, 이 실험을 통해 비타민C 제품에 포함된 비타민C의 양을 측정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요오드 적정법의 원리 요오드 적정법의 원리는 요오드(I2)가 약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환원성 물질을 산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요오드는 전자를 받아들여 요오드 이온(I-)으로 환원되고, 환원성 물질은 전자를 잃어 산화된다. 이때 ...2024.11.03
-
구리 납 아연2024.11.071. 화학 전지와 전기화학적 서열 및 전기 분해와 도금 1.1. 금속판을 사포로 문질러 사용하는 이유 금속판을 사포로 문질러 사용하는 이유는 이전 실험에서 남아 있을 수 있는 다른 금속(불순물)을 제거하고, 표면을 거칠게 하여 산화 환원 반응이 더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전기화학 반응에서 금속 표면의 상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금속판 표면에 불순물이 존재할 경우 이들이 전극 반응에 영향을 미쳐 실험 결과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전 금속판을 사포로 문질러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균일한 반응 면...2024.11.07
-
COD실험2024.11.031.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측정 1.1. 실험 목적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측정의 실험 목적은 용액 1kg(1L) 당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산화제로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산화하는데 요하는 화학적 산소요구량(mgO/L)을 측정하는 것이다. 대상 시료를 황산 산성 상태에서 과량의 과망간산칼륨을 넣고 가열반응을 시킨 다음 소비된 과망간산칼륨의 양에 상당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여 시료의 COD를 측정한다. 1.2. 실험 이론 1.2.1. 산화(Oxidation) 산화(Oxidation)은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반응으로, 넓은...2024.11.03
-
화학실험2024.10.081. 화학 전지 1.1. 화학 전지의 정의와 원리 화학 전지는 자발적인 화학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전자 이동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는 장치이다. 화합물 내의 원자와 분자는 전자를 잃어버리거나 얻게 되는데, 이때 전자를 잃어버리는 물질은 "산화"되었다고 하고 전자를 얻은 물질은 "환원"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산화-환원 반응은 화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분자들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금속선을 통하여 전자가 흐르도록 만들면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지(cell)를 만들 수 있다. ...2024.10.08
-
물 전기분해2024.09.191. 전기분해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구리를 석출하고, 이 때 이용한 구리의 이론값과 실제 석출된 구리의 양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기분해를 통해 구리가 석출되는 과정을 관찰하고,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석출량과 실제 석출량을 비교함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1.2.1. 전기분해 전기분해는 자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화합물의 분해 반응을 직류 전기를 사용하여 발생하도록 하여 원하는 물질을 얻는 기술이다. Galvani 전지에...2024.09.19
-
실버버그 일반화학 요약 8판 12-21장2024.09.191. 분자간 힘: 액체, 고체 및 상 변화 1.1. 물질의 3가지 상태 물질의 3가지 상태는 고체, 액체, 기체이다. 각 상태는 분자 간 힘의 차이로 인해 서로 구분된다. 고체 상태는 분자 간 인력이 매우 강해 분자들이 상대적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체는 자체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압축하기가 어렵고 흐를 수 없다.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가 분자 간 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이다. 액체 상태는 분자 간 인력이 강하지만, 분자들이 여전히 무질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액체는 용기의 모양에 따라 형태가 정해지...2024.09.19
-
일반화학실험2024.09.131. 일반화학실험 1.1. 부피 측정 기구의 정확도 부피 측정 기구의 정확도는 실험 결과의 신뢰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실험에 사용된 부피 측정 기구에는 뷰렛, 피펫, 메스실린더, 부피 플라스크 등이 있으며, 각 기구의 정확도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뷰렛을 이용한 부피 측정에서는 오차가 0%로 나타났다. 이는 뷰렛의 눈금을 정확히 읽고 용액을 완전히 옮겨담았기 때문이다. 피펫을 이용한 부피 측정에서는 1%의 오차가 발생했는데, 이는 피펫 눈금을 정확히 읽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메스실린더를 이용한 ...2024.09.13
-
전기 전자 장기간 실험보고서2024.09.191. 화학전지와 전기화학적 서열 1.1. 실험 목적 화학전지와 전기화학적 서열 실험의 목적은 화합물들 사이에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전자 이동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는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고, Pb, Zn, Cu 금속의 전기화학적 서열과 화학전지에서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다." 1.2. 실험 배경 1.2.1. 산화-환원반응 산화-환원 반응(oxidation-reduction reaction)은 물질 사이의 전자 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반응으로, 산화와 환원이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은 산화되어 산화수가 증가하고, 전...2024.09.19
-
일반화학실험 반응속도론2024.11.041. 화학 반응 속도론 1.1. 반응 속도(reaction rate) 화학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물은 소모되고 생성물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반응의 진행 정도는 반응물의 농도 감소 또는 생성물의 농도 증가를 측정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진행 정도를 반응 속도(reaction rate)라고 한다. 반응 속도는 일반적으로 단위시간 동안 감소한 반응물의 농도 또는 증가한 생성물의 농도로 나타낸다. 즉, 반응 속도(v)는 {반응물질의 농도 감소량} 나누기 {반응 시간}, 또는 {생성물질의 농도 증가량} 나누기 {반응 시간}으로...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