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8개
-
일반화학실험2024.09.131. 일반화학실험 1.1. 부피 측정 기구의 정확도 부피 측정 기구의 정확도는 실험 결과의 신뢰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실험에 사용된 부피 측정 기구에는 뷰렛, 피펫, 메스실린더, 부피 플라스크 등이 있으며, 각 기구의 정확도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뷰렛을 이용한 부피 측정에서는 오차가 0%로 나타났다. 이는 뷰렛의 눈금을 정확히 읽고 용액을 완전히 옮겨담았기 때문이다. 피펫을 이용한 부피 측정에서는 1%의 오차가 발생했는데, 이는 피펫 눈금을 정확히 읽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메스실린더를 이용한 ...2024.09.13
-
전기도금2024.09.121. 실험 목적 및 개요 1.1. 산화-환원 반응과 Faraday's Law 개념 이해 산화-환원 반응은 화학 반응에서 두 물질 사이에 전자, 산소 및 수소의 이동 또는 산화수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전자의 이동과 수소 이동에서는 화학종이 전자, 수소를 얻으면 환원, 잃으면 산화가 되고, 산소의 이동 반응에서는 산소를 얻으면 산화수가 증가하고, 잃으면 산화수가 감소하여 환원이 된다. 전자의 이동에 따른 산화-환원 반응의 예시를 살펴보면 Fe^{3+} + V^{2+} → Fe^{2+} + V^{3+}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2024.09.12
-
루미놀 실험 보고서2024.09.151.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 1.1. 화학발광의 정의 화학발광이란 특정한 화학종이 일련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electromically excited state)로 전이(transition) 된 후 다시 바닥상태(ground state)로 이완(relaxation) 될 때 여분의 에너지를 열에너지가 아닌 빛에너지로 방출하는 현상이다.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이 들떠 발광하거나, 들뜬분자 또는 들뜬원자가 함께 존재하고 있는 다른 분자나 원자에 충돌하여 이것을 들뜨게 하여 발광시키는 경우 등이...2024.09.15
-
물 전기분해2024.09.191. 전기분해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구리를 석출하고, 이 때 이용한 구리의 이론값과 실제 석출된 구리의 양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기분해를 통해 구리가 석출되는 과정을 관찰하고,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석출량과 실제 석출량을 비교함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1.2.1. 전기분해 전기분해는 자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화합물의 분해 반응을 직류 전기를 사용하여 발생하도록 하여 원하는 물질을 얻는 기술이다. Galvani 전지에...2024.09.19
-
실버버그 일반화학 요약 8판 12-21장2024.09.191. 분자간 힘: 액체, 고체 및 상 변화 1.1. 물질의 3가지 상태 물질의 3가지 상태는 고체, 액체, 기체이다. 각 상태는 분자 간 힘의 차이로 인해 서로 구분된다. 고체 상태는 분자 간 인력이 매우 강해 분자들이 상대적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체는 자체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압축하기가 어렵고 흐를 수 없다.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가 분자 간 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이다. 액체 상태는 분자 간 인력이 강하지만, 분자들이 여전히 무질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액체는 용기의 모양에 따라 형태가 정해지...2024.09.19
-
전기 전자 장기간 실험보고서2024.09.191. 화학전지와 전기화학적 서열 1.1. 실험 목적 화학전지와 전기화학적 서열 실험의 목적은 화합물들 사이에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전자 이동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는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고, Pb, Zn, Cu 금속의 전기화학적 서열과 화학전지에서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다." 1.2. 실험 배경 1.2.1. 산화-환원반응 산화-환원 반응(oxidation-reduction reaction)은 물질 사이의 전자 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반응으로, 산화와 환원이 동시에 일어난다. 전자를 잃은 쪽은 산화되어 산화수가 증가하고, 전...2024.09.19
-
일반화학실험 은거울 반응 결과 보고서2024.09.221. 은거울 반응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은거울 반응을 통해 유기화합물의 작용기를 정성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은거울 반응은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과 알데하이드 수용액이 반응하여 시험관 벽면에 은이 코팅되는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알데하이드 작용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이다. 포도당과 같은 알데하이드 화합물에 포함된 포르밀기(-CHO)가 산화되면서 은 이온을 환원시켜 금속 은을 석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알데하이드기가 포함된 유기화합물의 구조와 성질을 규명할 수 있다. 1.2. 실험 원리 ...2024.09.22
-
레포트2024.09.14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이상기체 방정식과 화학반응 이상기체 방정식은 이상 기체를 다루는 상태 방정식이다. 이상 기체 방정식은 P(압력) V(부피) = n(기체의 양) R(기체상수) T(절대온도)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방정식은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보일-샤를의 법칙 및 아보가드로의 법칙 등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해 기체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다만, 실제 기체는 이상 기체 방정식에 어긋나는 현상을 보일 때도 있는데, 이런 결함을 보완하려면 판데르발스 방정식을 사용한다. 화학반응은 어떠한 화학 물질...2024.09.14
-
전해질 농도에 따른 Cu의 Cyclic Voltammetry2024.09.261. 서론 Cyclic voltammetry는 전해조에 산화/환원반응이 가능한 화학종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작업 전극에 전 압을 순환전위로 가하면서 이에 대한 전류의 응답에 의해서 전극표면 또는 전극표면 근처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전기화학 반응의 열역학 및 속도론적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 Cyclic voltammetry에 서 얻어지는 전류-전위곡선을 순환전압전류곡선(cyclic voltammogram, CV)이라고 부르며, 무기화학, 유 기화학, 고분자화학, 생화학 등의 분야에서 산화 환원쌍의 형식(form), 산화환...2024.09.26
-
Cu cyclic voltammetry2024.09.261. 서론 1.1. Cyclic Voltammetry(CV) 개요 Cyclic voltammetry(CV)는 전해조에 산화/환원반응이 가능한 화학종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작업 전극에 전압을 순환전위로 가하면서 이에 대한 전류의 응답으로부터 전극표면 또는 전극표면 근처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전기화학 반응의 열역학 및 속도론적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 순환전압전류곡선(cyclic voltammogram, CV)이라고 불리는 전류-전위곡선은 무기화학, 유기화학, 고분자화학, 생화학 등의 분야에서 산화 환원쌍의 형식(form)...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