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미생물생태학2024.10.041. 미생물과 금속의 상호작용 1.1. 미생물의 금속 용해화 및 불용화 기작 1.1.1. 용해화 기작 미생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금속의 용해화를 유도할 수 있다. 미생물은 수소이온농도(pH)를 변화시켜 금속화합물의 양이온을 방출하거나, 유기산을 생산하여 금속과 이온 형태로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을 용해화할 수 있다. 먼저, 미생물은 세포벽에 있는 수소이온-이송 ATPase(proton-translocating ATPase)를 이용하여 세포 외부의 pH를 낮추고 세포 내부의 pH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낮아진 세포 외부의 ...2024.10.04
-
항산화능 DPPH 실험 결과 분석2024.10.231. 항산화능 측정 1.1. 실험의 목적 및 원리 항산화능 측정 실험의 목적은 항산화의 정의와 활성산소에 대해 알아보고, DPPH 용액의 특성을 이해한 후 녹차추출물과 DPPH 용액을 이용하여 녹차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ascorbic acid(비타민 C)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녹차추출물과 비교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실험 원리는 DPPH 용액이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구조의 free-radical과 달리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어두운색을 띠고 있다는 것이다. 이 DPPH 용액이 항산화물질과 만나게 되...2024.10.23
-
미적,세특,화학2024.11.231. 화학과 지원 맞춤형 세부 능력과 특기사항 1.1. 화학 I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주기율표를 배우면서 전이 금속에 대한 궁금증이 유발되었고, 도서 '사라진 스푼(샘 킨)'을 읽으면서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함. 전형 원소들은 이온화 에너지, 이온 반지름 등 규칙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이 금속의 경우 3d, 4s 오비탈이 모두 관여하기 때문에 뚜렷한 규칙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비교하여 설명했으며, 그 과정에서 주기율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임. 독창적이고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했으며, 친구들의 질문에 논리적으로...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