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개
-
기본간호학 산소화 문제2024.09.241. 기본간호학 개요 1.1. 교과목 개요 기본간호학의 교과목 개요는 대상자의 기본요구에 따라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즉, 기본간호학은 대상자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중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기본간호학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1.2. 학습목표 대상자의 기본요구인 산소화, 영양, 배설, 활동과 운동, 안위 및 안전 요구 등을 충족...2024.09.24
-
노인간호학 케이스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2024.09.241. 서론 최근 들어 노령화 인구의 증가 및 서구화된 생활습관의 영향으로 뇌경색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뇌경색이라 함은 '허혈성 뇌졸중'이라고도 불리는 뇌졸중의 하나로 뇌로 향하는 혈류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되고 그 결과 적절한 혈류를 공급받지 못한 뇌 조직 부분이 손상을 받게 되는 질환을 이야기 한다. 뇌졸중은 손상을 받게 되는 뇌의 부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들-운동 마비, 감각 이상, 실어증, 어지러움, 균형 장애, 인지기능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많은 환자들에서 기능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2024.09.24
-
가변성하강2024.09.231. 제대탈출 1.1. 정의 제대탈출이란 아두만출 전에 제대가 선진부 앞으로 밀려 내려온 것을 말한다. 파막 후 제대가 중력에 의해 선진부 앞으로 내려오는 양상이 가장 흔하다.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나와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로 인해 태아의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 1.2. 원인 길고 복잡한 제대탈출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길이가 긴 제대는 제대가 쉽게 탈출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둘째, 두정위가 아닌 선진부의 경우 제대가 밖으로 나오기 쉽다. 셋째, 조기파막은 제대가 압박을 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든다. 넷째...2024.09.23
-
나숨차2024.10.031. 미숙아 호흡관리 1.1. 미숙아 특성 미숙아 특성은 다음과 같다. 미숙아는 재태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는 재태기간에 따라 더 세분화되며, 32주 미만은 극소저체중출생아, 28주 미만은 초극소저체중출생아로 구분된다. 미숙아는 출생 시 신체발달이 미숙하여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갖고 있다. 특히 호흡기능이 미숙하여 호흡곤란증후군, 무호흡 등의 호흡 관련 합병증이 흔히 나타나며, 이로 인한 저산소증과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온 조절능력이 부족하여 체온 불안정성이 있고, 전해질 및 수분 균형 ...2024.10.03
-
나숨차님 시나리오2024.10.181. 미숙아 무호흡 간호 1.1. 미숙아 특성 미숙아는 대표적으로 재태주령(Gestational age)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를 의미한다. 미숙아는 재태주령에 따라 세분화되는데, 조산아(Preterm Infant)는 재태주령 32주 미만, 극소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Infant)는 1.5kg 미만, 초극소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는 1kg 미만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일반 신생아에 비해 신체발달 및 생리기능이 미숙하여 다양...2024.10.18
-
신생아 RDS A2024.11.08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wborn, RDS) 1.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정의 및 원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질병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계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기 호흡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이로 인해 신생아 특히, 미숙아 사망의 주된 원인으로...2024.11.08
-
병동에서 응급보고가 필요한 상황2024.11.04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요 산소요법은 산소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요법이다. 숨을 들이마실 때 산소농도가 낮을 경우, 폐포로부터 혈액으로 산소운반이 잘 되지 않을 경우나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쁠 경우에 적용한다. 산소요법을 시행하는 기본적인 목표는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 있다.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약 21%인데 대기 중의 산소로 신체의 산소 ...2024.11.04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사례보고서2024.10.081. 서론 1.1. 질병연구 대상자의 진단명 대상자의 진단명은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neumonia(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폐렴)"이다. 대상자는 주진단명으로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neumonia"를 가지고 있으며, "Asthmatic bronchitis NOS"의 부진단명도 있다. 1.2. 폐렴의 정의 폐렴은 세기관지와 폐의 폐포부위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발생한다. 폐렴은 지역사회 획득 폐렴과 병원 획득 폐렴이 있다. 폐렴은 바이러...2024.10.08
-
폐렴의 간호진단2024.10.161. 폐렴의 정의 및 원인 1.1. 폐렴의 정의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에 발생한 염증을 말한다. 폐렴은 가을, 겨울, 봄철에 더 자주 발생하며 후천성 면역 결핍증이나 낭성 섬유증, 선천성 결함, 이물질 흡인과 같은 만성, 급성 질환의 아동에서 폐렴 발생의 위험이 증가한다. 1.2. 폐렴의 원인 1.2.1. 유발 위험요인 유발 위험요인은 폐렴의 발생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들을 말한다. 의식 상태 저하로 인한 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의 억제는 흡...2024.10.16
-
Ecmo2024.10.261. 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1.1. ECMO의 정의와 원리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수일~2주간 심폐 bypass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경부 또는 대퇴부의 혈관을 도관으로 사용한다. 심폐 부전 환자들이 자체 치유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심폐보조를 해주는 것이 ECMO의 주된 목적이다. ECMO의 기본 원리는 환자의 정맥혈을 체외로 배출하여 산화기(oxygenator)를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