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사진사와 미학2024.09.161. 서론 우리는 사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 카메라, 퓰리쳐 상,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먼저 떠올리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마 사진술을 처음 발견하고 발명한 사람들이 외국의 사람이며 한국에서는 사진작가, 사진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사진역사 전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 과정으로 이뤄졌다. 포토그라피(Photography)를 새로 번역하지 않고 사진(寫眞, 베낄 사/참 진)이라는 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시대와 전쟁, 독재의 과정을 모두...2024.09.16
-
영상 미학 개론2024.10.141. 사진사와 미학 1.1. 1870~80년대 1.1.1. 한국 사진의 도입 1870~80년대에는 한국에 사진이 최초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해병대 종군사진반이 전투현장을 기록한 사진이 한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사진이었다. 또한 오경석은 1872년 청나라에서 프랑스 외교관 매휘립이 찍은 자신의 초상사진을 가지고 귀국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초상사진이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역관, 해외 시찰 등을 통해 사진에 대한 개념이 한국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1.1.2. 초상사진의 대두 실질적인 한국 사진사는 문헌상에 ...2024.10.14
-
사진사와 미학 2차과제2024.12.011. 한국 사진의 시작과 발전 1.1. 사진의 도입과 초기 발전 1.1.1. 1870년대: 사진의 도입 한국인이 최초로 사진에 찍힌 역사적 사건은 『연행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1863년 북경의 러시아관에서 연행사절단으로 파견된 정사 이의익이 초상사진을 찍으면서 사진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때 연행일기에 '사진'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였다. 서양이 사진을 기술 중심적으로 정의한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사진을 '사진(寫眞)'이라 명명하였는데, 이는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어 정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조선의 사실주의적 ...2024.12.01
-
한국 사진사2024.12.021. 한국 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 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 사정으로 인해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 당시 조선은 폐쇄정책을 실시해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주변 국가에 있던 사진이 국내로 이입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였다. 계속되는 서양 자본주의 세력의 통상과 개항 요구는 프랑스와 미국의 전쟁 형태의 싸움으로까지 이어졌고 이후 쇄국정책이 더욱 강화되었다. 1873년 대원군이 물러나기까지 우리나라는 쇄...2024.12.02
-
한국 사진사2024.12.021. 한국 사진사 개관 1.1. 한국 사진의 시작 1.1.1. 1860년대와 1870년대의 사진 우리나라에 사진이 처음 들어온 것은 1860년대와 1870년대 무렵이다. 이의익(李宜翼)과 그의 일행, 오경석(吳慶錫), 김기수(金基秀)와 김홍집(金弘集) 등이 중국과 일본에서 초상화 사진을 찍었다. 특히 이의익과 그의 일행이 중국에서 찍은 사진은 한국인을 모델로 한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866년 병인양요와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국 해병대가 촬영한 사진들도 이 시기의 중요한 기록이다. 이처럼 이 시기의 사진...2024.12.02
-
사진사와 미학 2차2024.11.261. 한국 사진의 역사 1.1. 한국 사진의 기원 한국 사진의 기원은 1863년 조선 연행사 일행이 북경에 갔을 때 당시 러시아 공사관 사진관에서 촬영된 여섯 장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공식적으로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사진이 된다. 그 이전에도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선 갑판에서 촬영된 세 장의 조선인 사진이 발견되었지만, 1863년 연행사 일행의 사진들이 보다 이른 시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한국에 사진이 처음 들어온 시기는 1860년대 초반으로 볼 수 있다. 한국에 사진이 도입된 배경은 중국이나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