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한국 사진사2024.11.301. 한국 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 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사정으로 인해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 당시 한국은 폐쇄정책을 펼쳐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변국에서 사용되던 사진술이 한국으로 전해질 수 없었다. 계속되는 서양 자본주의 세력의 통상과 개항 요구로 프랑스와 미국과의 전쟁까지 이어졌지만, 대원군 집권 기간 동안 한국의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문호는 개방되어 있어 매년...2024.11.30
-
사진사와 미학2024.10.251. 사진의 기원과 발전 1.1. 사진(술)의 기원 사진(術)의 기원은 카메라 옵스큐라와 감광성의 특징의 조합에서 찾을 수 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렌즈에 의한 피사체의 상을 만드는 것이며, 감광성은 빛의 작용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변할 수 있는 민감한 재료를 의미한다. 우선, 사진은 옵스큐라(어두운 방)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옵스큐라는 안쪽을 어둡게 만든 상자나 방 한편에 작은 구멍을 뚫어놓고 바깥에서 어두운 쪽으로 들어오는 빛을 통해 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이다. 이렇듯 옵스큐라 단독으로는 아무 발전을...2024.10.25
-
사진사와 미학2024.09.051. 사진의 역사와 발전 1.1. 사진의 기원과 발전 1.1.1. 카메라 옵스큐라와 감광성의 조합 카메라 옵스큐라와 감광성의 조합이 사진의 기원이 되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렌즈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만드는 장치이다. 옵스큐라는 안쪽을 어둡게 만든 상자나 방의 한쪽에 작은 구멍을 뚫어 바깥에서 어두운 쪽으로 들어오는 빛을 이용해 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옵스큐라 단독으로는 발전을 이루지 못했지만, 여기에 빛의 특성인 직진성, 반사성, 굴절성, 회절성을 이용함으로써 엄청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렌즈와 거울 세공의 지...2024.09.05
-
사진사와 미학2025.03.291. 서론 1.1. 사진의 정의와 역사 사진이란 빛을 이용하여 대상을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예술이다. 사진의 역사는 14세기 바늘구멍의 원리를 이용하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카메라 옵스큐라로부터 시작되며, 이를 통해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물을 좀 더 자세히 그릴 수 있었다. 이후 19세기 말에 에디슨과 폴 등에 의해 유사한 형태의 영화 기술이 발명되면서, 사진의 역사가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1895년 프랑스의 루이 뤼미에르가 시네마토그래프라는 카메라를 발명함으로써 영화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를 계기로 사진과 영화는 밀...2025.03.29
-
영상 미학 개론2024.10.141. 사진사와 미학 1.1. 1870~80년대 1.1.1. 한국 사진의 도입 1870~80년대에는 한국에 사진이 최초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해병대 종군사진반이 전투현장을 기록한 사진이 한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사진이었다. 또한 오경석은 1872년 청나라에서 프랑스 외교관 매휘립이 찍은 자신의 초상사진을 가지고 귀국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초상사진이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역관, 해외 시찰 등을 통해 사진에 대한 개념이 한국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1.1.2. 초상사진의 대두 실질적인 한국 사진사는 문헌상에 ...2024.10.14
-
사진사와미학2025.04.261. 서론 우리는 사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 카메라, 퓰리쳐 상,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먼저 떠올리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마 사진술을 처음 발견하고 발명한 사람들이 외국의 사람이며 한국에서는 사진작가, 사진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 하지만 한국의 사진역사 전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 과정으로 이뤄졌다. 포토그라피(Photography)를 새로 번역하지 않고 사진(寫眞, 베낄 사/참 진)이라는 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시대와 전쟁, 독재의 과정을 모두 겪은 한국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