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이러닝 문화기술과 색채심리 족보2024.09.111. 로봇의 역사와 현재 1.1. 로봇의 어원과 정의 로봇이라는 용어는 체코어의 'Robota'에서 유래되었으며, '강제적 노동' 또는 '노예'라는 의미를 지닌다.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 작가 카렐 차페크가 희곡 '로섬의 만능 로봇(R.U.R.: Rossum's Universal Robots)'에서 처음 이 용어를 사용했다. 차페크는 이 희곡에서 기술의 발달과 인간사회의 관계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상징적으로 표현했으며, 로봇은 노동자로서 인간의 지배를 받는 상황을 묘사했다. 이 로봇들은 노동을 통해 지능과 반항정신이 발달하여 ...2024.09.11
-
시퀀스 별 구조 분석 레포트2024.10.141. 영화 구조 분석 1.1. 시퀀스 1 - 주인공 배경 소개 및 갈등 발생 이 작품은 주인공 셋, 유달, 케롤, 사이먼의 모습을 통해 그들의 배경을 보여주며 유달과 트러블이 생기는 캐롤과 사이먼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달은 주민들이 꺼려하는 강박증 환자로 묘사된다. 그의 극도의 강박증과 험한 말투는 주민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한편 케롤은 아들을 극도로 아끼며 외로운 웨이트리스이고, 사이먼은 게이라는 이유로 유달에게 심한 말을 듣는 화가이다. 이들 간의 갈등이 드러나는데, 유달이 버델을 쓰레기통에 버리자 버델을 찾는 사이...2024.10.14
-
밀란쿤데라 불멸과 공각기동대 자아정체성2024.10.241. 서론 1.1. 정체성에 대한 고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오래전부터 인간이 지속적으로 탐구해온 문제이다. 우리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게 된다. 개인의 정체성은 단순히 외적인 요소로만 규정될 수 없으며, 내면의 경험과 가치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김광규 시인의 시에서처럼 '나'는 아버지, 형제, 배우자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정의되며, 이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상황과 맥락에 ...2024.10.24
-
영상학과가 쓰는 영화감상문 레포트2024.10.181. 영화 '광해, 군주의 세 얼굴' 감상문 1.1. 영화 소개 광해군은 조선 중기의 왕으로, 자신의 안위를 위협하는 이들을 피하기 위해 자신과 똑같은 신분 낮은 광대를 찾아 왕의 자리에 앉힙니다. 이 광대는 완전히 광해군과 흡사한 외양을 지니고 있었기에 왕궁 내에서 원활하게 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광해군은 자신의 권력을 지키고자 했던 것이 영화 "광해, 군주의 세 얼굴"의 주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허구적 요소를 가미하여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전개하...2024.10.18
-
사이보그가 되다 독후감2024.10.021. 소개 이 책 「사이보그가 되다」는 후천적 청각장애를 겪고 있는 김초엽 작가와 선천적 골격계 질환을 가진 김원영 작가가 공동으로 집필한 작품이다. 두 작가는 장애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유형의 장애와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장애에도 각자의 정체성이 있다는 사실을 직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김초엽 작가는 보청기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으로, 일상에서 다른 장애인들을 만난 적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자신의 정체성을 오래도록 비장애인에 가깝게 여겨왔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이 '역경을 이겨낸 장애인'으로 묘사되거나...2024.10.02
-
밀란 쿤데라, 자아정체성, 불멸, 공각기동대2024.10.121. 서론 1.1. 자아의 정의와 중요성 자아는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개념으로, 개인이 자신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자아의 정의와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는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근간이 된다. 개인은 자아를 바탕으로 자신의 가치관, 성격, 행동 양식 등을 정립하게 되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갖게 된다. 자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둘째, 자아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과 행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아가 건강하게 형성되면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이 높아져 삶에...2024.10.12
-
과학탐구보고서 수상2024.11.191. 액체 pH 성분과 알약의 용해도의 상관관계 연구 1.1. 탐구배경 및 목적 탐구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 경험으로 의약 및 제약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약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를 하게 되었다. 특히 학생들의 경우 물을 준비 못한 채 약을 복용하거나 차 종류 및 탄산음료와 함께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복용 방법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실험으로 증명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 탐구를 계획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상비약과 액체를 각각 대응시켜 약효를 극대화할...2024.11.19
-
공각기동대 감상문2024.11.201. 공각기동대의 주요 주제와 메시지 1.1. 인간과 기계의 경계 인간과 기계의 경계는 공각기동대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이 작품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복잡하고 모호하게 표현하며, 인간과 기계의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작품 속에서 사이보그인 주인공 쿠사나기는 자신이 인간인지 기계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다. 그는 생물학적으로는 인간이지만 인공의체를 장착하고 있어 기계적인 부분이 크다. 쿠사나기는 자신이 기계적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스스로를 인간으로 여기며, 인간으로 인정...2024.11.20
-
생체칩 아이디어2024.11.181. 사이보그 기술의 현재와 미래 1.1. 사이보그의 대상과 범위 사이보그의 대상과 범위는 인류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보그의 어원인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Organism)의 합성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이보그의 대상은 생물 그 자체이다. 세계 동물 권리 선언에 따르면 모든 동물의 삶은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므로, 의공학을 통한 의료 기술의 혜택 대상을 인간으로만 한정시킬 필요가 없다. 신체적 장애가 있는 동물 또한 사이보그의 대상으로서 치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자 차이가 불과 1.6%...2024.11.18
-
지체장애인을 위한 brain-computer interface2024.10.131. 사이보그 기술의 윤리적 쟁점 1.1. 사이보그 대상의 범위 사이보그 대상의 범위는 인류에만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사이보그란 생물과 기계장치가 결합한 존재로, 생물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한다. 세계 동물 권리 선언에 따르면 모든 동물은 삶의 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명체를 가진 동물들 또한 사이보그 기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유인원과 같이 인간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왔던 점을 고려할 때, 신체적 장애를 가진 동물들도 치료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윤...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