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심부전 간호진단2024.10.09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방은 혈액이 들어오고 나가는 부분으로 우심방과 좌심방으로 나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통해 정맥혈을 받아들이고, 삼첨판막을 통해 우심실로 보낸다.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을 통해 산소화된 혈액을 받아들이고, 승모판막을 통해 좌심실로 보낸다. 심실은 혈액을 펌프질하여 전신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우심실은 정맥혈을 폐로 보내고, 좌심실은 동맥혈을 전신으로 보낸다. 심실벽의 두께는 우심실보다 좌심실이 두껍다. 1.1.2. 판막 심장에는 방실판막(tri...2024.10.09
-
폐부종을 동반한 울혈성 심부전 문헌고찰2024.11.301. 울혈성 심부전 1.1. 정의 및 원인 1.1.1. 정의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은 심박출량의 감소로 체내조직의 대사 요구를 충족할 수 없고, 조직 혈류량은 감소되고 폐혈관 및 전신 정맥계에는 울혈이 초래되는 것이다. 심부전이란 심장이 펌프기능 장애를 일으켜 조직과 장기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심장 기능에 영향을 주는 선천성, 후천성 혈관계의 거의 모든 질환의 결과로 오는 복잡한 임상 증상으로, 심장질환의 최종 단계이다. 1...2024.11.30
-
심부전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2024.10.2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기본 구조 심장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4개의 방(우심방, 좌심방, 좌심실, 우심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방은 판막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동맥 등을 통해 들어온 정맥혈을 받아들인다.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받은 정맥혈을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폐에서 산화된 혈액은 4개의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오고, 좌심실은 이 동맥혈을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보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심장은 전신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2024.10.26
-
쇼크의 위험 간호과정2024.09.081. 쇼크의 정의와 발생 원인 1.1. 쇼크의 정의 쇼크(shock)는 불충분한 혈액순환으로 인해 혈액이 조직 내로 적절히 확산되지 못하여 세포에 신진대사 부전이 초래되고 그 결과 생리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즉, 세포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는 심각한 생명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다. 1.2. 쇼크의 원인 1.2.1. 저혈량성 쇼크 저혈량성 쇼크는 전혈을 다량 소실하여 전신 순환혈액량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출혈성 쇼크와 체액 손실로 인한 ...2024.09.08
-
ABGA 문제2024.09.101. 산-염기 균형 1.1. 산과 염기 산은 수용액에서 수소이온(H+)을 내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산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등이다. 이들 산은 수용액에서 수소이온을 내어 수소이온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반해, 염기는 수용액에서 수소이온을 받아들이거나 수소이온 농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암모니아(NH3), 탄산나트륨(Na2CO3) 등이 있다. 이들 염기는 수용액에서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수소이온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산과 염기는 수소이온 농도...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