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Pcd pcn2024.09.191. 배액관의 개요 1.1. 배액관 삽입의 목적 배액관 삽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수술창상(operative wound)부위로부터 염증 유발 물질인 pus, blood, other fluids(lymph) 등을 배출함으로써 감염의 경로를 차단하고 체내 축적을 방지한다."" 둘째, 체내 고여 있는 분비물의 배액을 위함이다. 수술 후 문합부의 누출(anastomotic leak)이나 출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해 상처로부터 배액을 실시한다."" 셋째, 수술 및...2024.09.19
-
수술 후 간호 시나리오2024.09.231. 위암 수술 후 간호 (POST OP) 1.1. 자기소개 및 확인 간호사1: 안녕하세요. 외과병동 간호사 OOO입니다. (어깨를 두드리며) 이위만님 여기가 어딘지 아세요? 졸리시더라도 지금 깨어있으셔야 돼요. 대상자 분 성함과 생년월일이 어떻게 되세요? (입원팔찌 확인) 간호사1의 자기소개 및 확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간호사1은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며 자신이 외과병동 간호사 OOO라고 소개한다. 그리고 이위만님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며, 졸리더라도 깨어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어서 대상자 분의 성함과 생년월일을 ...2024.09.23
-
hemovac2024.11.031. 배액관의 종류와 특징 1.1. Jackson Pratt drain Jackson Pratt drain은 수술 부위의 과도한 배액을 흡인하기 위해 실리콘으로 만든 원형의 폐쇄 배액 기구이다. 이는 안전하고 지속적인 음압의 진공으로 배액을 제거하고 모으기 위한 장치이다. Jackson Pratt drain은 일반적으로 100~200ml 용량의 규격으로 제작되며, 조직에 주는 압력이 작고 가벼워 편리하고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배액을 모아서 사강을 감소시킴으로써 치료와 회복을 촉진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주로 유방절제술이...2024.11.03
-
penrose drain2024.11.031. 배액관의 정의와 목적 1.1. 배액관의 정의 배액관이란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된 관을 의미한다." 1.2.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수술 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수술 및 시술 후 분비물의 배액과 출혈을 관찰하기 위해서이다. 배액관은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된 관으로,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파편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처 치유 기...2024.11.03
-
penrose drain 적응증2024.11.031. 배액관의 기본개념 1.1. 배액관의 정의 배액관은 "신체의 빈 공간이나 상처부위, 수술 및 시술 부위의 부종,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공기, 혈액, 혈장, 조직의 파편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배액관은 상처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수술 및 시술 후 삼출물 배액과 출혈을 관찰하며, 수술 후 고인 삼출물을 배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1.2.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상처 부위 회복에 방해가 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것", "수술 및 시술 후 삼출물 배액과 출혈 관찰", "수술 후 상처 또는 체내에 ...2024.11.03
-
배액관 감염위험성2024.10.311.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1.1. 간호과정 1.1.1. 간호사정 1.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수술 후 자신의 몸에 줄이 많이 달려있다고 말하였다."" 1.1.1.2.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수술 후 시행한 검사 결과, 대상자의 WBC 수치가 11.25×10?/ℓ로 증가해 있었고, CRP 수치도 5.2㎎/㎗로 상승해 있었다"" 이는 감염을 시사하는 객관적 소견이다. 또한 수술 후 LADG(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와 Billro...2024.10.31
-
pca2024.10.051. 수술 후 통증 관리 1.1.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 정의 및 목적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는 통증이 있을 때마다 정맥이나 경막외강으로 설치된 통증 자가 조절장치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는 방법이다. PCA의 주요 목적은 통증을 즉시 조절하고, 환자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독립성을 증진시키며, 진통제의 과량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다. PCA를 통해 환자는 필요시 즉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어 통증 조절이 용이...2024.10.05
-
성인간호학 수술실 VATS 기흉 케이스스터디2024.11.2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수술실 실습 동안 기흉으로 인해 수술을 받는 환자들을 관찰하게 되었다. 기흉 질환은 전신마취와 흉강경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수술 후 합병증 및 관리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흉 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기흉 질환, 수술 방법, 수술 과정, 경과와 합병증, 결과관리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기흉 환자 사례를 분석하여 수술 전후 간호중재와 간호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흉 환자...2024.11.25
-
핵심술기 요약2024.12.011. 핵심간호술 및 건강사정 1.1. 상처 배액 관리 1.1.1. 과다한 삼출물이 있는 상처 또는 다량성 배액의 누공(Fistula) 관리 과다한 삼출물이 있는 상처 또는 다량성 배액의 누공(Fistula)을 관리하는 경우, 간호사는 먼저 대상자와의 접촉 전에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을 착용한다. 이후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이름과 등록번호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감염의 증거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임상병리검사 결과와 활력징후를 확인한다.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을 착용한 후 상처 부위를 사정하여 감염의 징후를 확인...2024.12.01
-
PCN PCD PTGBD2025.01.091. 배액관 개요 1.1.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수술 또는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 피부 또는 조직의 상처로부터 장액성, 혈액성, 화농성 등의 체액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한다. 이를 통해 상처 감염을 예방하고 이차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체내 고여 있는 분비물의 배액을 위함이다. 수술이나 외상 등의 처치 후 체내에 고여있는 삼출액, 혈액, 농 등을 배액시켜 기관이나 조직의 압박을 완화하고 정상적인 기능 회복을 돕는다. 셋째, 수술 및 시...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