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6개
-
냉동생지 종류2024.09.151. 서론 냉동생지를 처음 접한 건 20살, 파리바게뜨 알바를 할 때였습니다. 그 전까지만 해도 빵집에서는 모든 빵을 직접 반죽부터 해서 판매하는 줄 알았는데, 그 때 당시 빵집 기사님께서 매일 팔리는 양이 있기 때문에 공장에서 들어오는 냉동생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절대 판매량 못 만든다고 해서 냉동생지를 처음 접해 신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베이커리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대형 기업들이 생겨나고 특히 프랜차이즈 매장들 또한 많아졌습니다. 20살 때 빵집 기사님이 오전 4~5시에 출근한 것처럼 신선하고 많은 종류의 빵을 제공하려면 발효 ...2024.09.15
-
오트밀에 대하여 훌륭한 식품의 기준 4가지(영양성분, 기호성, 기능성, 위생적품질)에 근거하여 설명하시오2024.09.171. 서론 우리 생활에 기본적인 요소를 의ㆍ식ㆍ주의 세 가지로 나타낸다. 그만큼 먹는다는 것은 에너지를 얻고 건강한 삶을 이어가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식품으로 에너지를 얻기도 하지만 맛이나 영양, 기능성 등으로 건강까지 생각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훌륭한 식품의 조건이 무엇인지 살펴보며 우리집에서 이용하는 식품 중 하나를 선정하여 그것이 훌륭한 식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쌀로만 밥을 지으면 좋지 않다고 해서 우리집에서는 현미와 귀리를 섞어 밥을 짓고 있다. 귀리의 영양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귀리가 훌륭한 식품의 조...2024.09.17
-
일반생물학실험: Amylase 반응 분석2024.09.231. 녹말의 분해 1.1. 녹말의 소화과정에서 amylase의 역할 녹말의 소화과정에서 amylase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타액 속에 포함된 amylase는 구강 내에서 녹말(starch)을 분해하여 덱스트린(dextrin)으로 가수분해한다. 원래의 녹말은 소화되기 어렵지만, amylase의 작용으로 더 작은 분자로 분해되어 효소의 작용을 받기 쉬워진다. 음식물이 위장으로 내려가서 위산과 혼합될 때까지 amylase의 작용이 계속된다. 위액 내에는 탄수화물 소화효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타액 내 amylase의 ...2024.09.23
-
막걸리2024.09.271. 막걸리의 이해 1.1. 막걸리의 정의 및 특징 막걸리는 곡물로 만든 곡주의 일종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의 곡물을 찌고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전통적인 술이다. 막걸리는 술을 거르기 전의 상태로 마시는데, 청주와 달리 술을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서 마시기 때문에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막걸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술인 탁주의 일종이며, 알코올 도수가 6-13%로 낮은 편이다. 막걸리는 쌀이나 밀가루에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키는데, 술이 완성되면 용수를 박아 청주를 떠내지 않기 때문에 흐리고 탁...2024.09.27
-
막걸리2024.09.261. 막걸리의 역사와 특징 1.1.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막걸리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막걸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술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술을 뜻하는 "미온(美醞)", "지주(旨酒)", "요례(醴)" 등의 기록이 보이는데, 이를 통해 삼국시대부터 이미 곡물로 술을 빚는 기술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지위서동이전》에는 "고구려가 장양(藏釀)을 잘한다"는 기록이 있어 당시 고구려인들의 술 빚는 뛰어난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고사기》에는 백제의 인번(仁番) 수수보리가 일본에 ...2024.09.26
-
식품미생물 막걸리2024.10.051. 막걸리의 정의와 종류 1.1.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쌀, 밀가루, 옥수수 등과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술이다. 막걸리는 술이 맑지 않고 탁해 '탁주'라고도 불리는데, 탁주와 막걸리는 엄밀히 구분할 수 있다. 막걸리의 '막'은 '마구'의 줄임말로 '특정한 규칙 없이 대충'이라는 의미와 '지금 바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술을 거르는 모습을 담은 언어로, 술의 맑기를 가진 탁주나 청주와 구분된다. 막걸리는 크게 제조법상의 분류와 주세법상의 분류 두 가지로 나뉜다. 제조법상 분류에 따르면 막걸리는 발효주이...2024.10.05
-
심청전과 심청가의 유래2024.10.071. 한국의 전통예술 1.1. 판소리 1.1.1. 판소리의 개념과 특징 판소리는 우리나라 전통 행위예술 중 하나로, 한 명의 소리꾼이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창, 아니리, 너름새를 섞어서 구연하는 형태의 공연예술이다. "판소리"라는 단어는 "판"과 "소리"가 합쳐진 말로, 여러 사람이 모인 곳이나 상황과 장면에서 부르는 노래를 뜻한다. 따라서 판소리는 구전으로 전해져 온 우리나라 민족 문화의 자산이며, 생동감 있는 현장의 언어와 전통음악의 자산을 풍부하게 보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적인 공연 예술이 어떻게 관...2024.10.07
-
된장만들기2024.10.071. 된장 만들기 1.1. 된장의 종류 1.1.1. 전통식 된장 전통식 된장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일정 기간 발효시킨 다음, 생성된 액체는 간장으로, 불린 메주는 된장으로 다시 발효시켜 제조한다. 전통식 된장의 원료는 모두 콩이므로 콩 단백질의 분해로 생성된 펩티드 및 아미노산으로 감칠맛(구수한 맛)이 강하고 색깔이 진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재래식 된장은 옛적부터 각 가정에서 메주로 만드는 재래식 간장의 찌꺼기를 말한다. 메주로 만든 재래식 된장에는 막된장, 토장, 막장, 청국장을 가공한 담북장, 수분이 많은 즙장 등이 ...2024.10.07
-
발효된 막걸리에서의 식품미생물의 역할2024.10.071. 발효식품의 이해 1.1. 발효의 정의와 특징 발효란 농·수·축·임산물 같은 재료에 효모나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작용해서 다른 물질로 바뀌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그 재료가 갖고 있던 맛과 향이 바뀌고, 미생물이 영양 성분을 분해해 우리 몸에 좋은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만들어내고 식품의 저장성이 향상된다. 발효는 원재료의 품질과 재료 배합비, 발효 미생물의 종류, 온도·습도·pH 등의 발효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최종 발효식품의 맛, 기능성, 저장성 및 안전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발효에 참여하는 미생물...2024.10.07
-
막걸리가 만들어질때의 식품미생물의 역할2024.10.071. 발효에 대한 이해 1.1. 발효의 개념 발효란 농·수·축·임산물 같은 재료에 효모나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작용해서 다른 물질로 바뀌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그 재료가 갖고 있던 맛과 향이 바뀌고, 미생물이 영양 성분을 분해해 우리 몸에 좋은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만들어내고 식품의 저장성이 향상된다. 발효에 참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는 원재료, 발효 미생물, 온도·습도·pH, 공기 등이 있다. 원재료의 품질과 재료 배합비는 최종 발효식품의 기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발효에 참여하는 미생물 종류에 따라 발효식품의 맛...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