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한국예술학과2024.10.131. 한국 사진의 역사 1.1. 한국 사진의 시작 한국 사진의 시작은 18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의익(李宜翼)과 그 수행원들이 중국 베이징(北京)의 러시아인 사진관을 찾아 초상 사진을 찍고 이를 갖고 돌아와 친지들에게 소개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언제 사진기술이 정확히 도입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1884년 2월 14일자 『한성순보』의 기사를 통해 사진 도입 시기를 유추할 수 있다. 한국에서 사진이 최초로 찍힌 것은 1871년 7월 미국의 아시아 함대가 신미양요를 일으키면서였다. 당시의 모습들이 담긴 사진 기록...2024.10.13
-
영상 미학 개론2024.10.141. 사진사와 미학 1.1. 1870~80년대 1.1.1. 한국 사진의 도입 1870~80년대에는 한국에 사진이 최초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해병대 종군사진반이 전투현장을 기록한 사진이 한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사진이었다. 또한 오경석은 1872년 청나라에서 프랑스 외교관 매휘립이 찍은 자신의 초상사진을 가지고 귀국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초상사진이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역관, 해외 시찰 등을 통해 사진에 대한 개념이 한국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1.1.2. 초상사진의 대두 실질적인 한국 사진사는 문헌상에 ...2024.10.14
-
한국 사진사와 미학 2차 과제2024.11.301. 한국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사정으로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의 국내는 폐쇄정책을 실시해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주위 국가에 있던 사진은 국내로의 이입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로 놓여졌다. 계속되는 서양의 자본주의 세력들의 통상과 개항의 요구는 프랑스와 미국의 전쟁 형태의 싸움으로 까지 이어졌고 그 후로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1873년 대원군이 물러나기까지 우리나라는 쇄국...2024.11.30
-
한국 사진사2024.11.301. 한국 사진의 발전 1.1. 사진의 국내 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 사정으로 인해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 당시 한국은 폐쇄정책을 실시해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주변국에 전파되고 있던 사진술이 국내로 전래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계속되는 서양 자본주의 세력들의 통상과 개항 요구는 프랑스와 미국의 전쟁 형태의 싸움으로까지 이어졌고 이후 더욱 강화된 쇄국정책으로 인해 암흑기가 장기화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2024.11.30
-
한국 사진사2024.11.301. 한국 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 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사정으로 인해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 당시 한국은 폐쇄정책을 펼쳐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변국에서 사용되던 사진술이 한국으로 전해질 수 없었다. 계속되는 서양 자본주의 세력의 통상과 개항 요구로 프랑스와 미국과의 전쟁까지 이어졌지만, 대원군 집권 기간 동안 한국의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문호는 개방되어 있어 매년...2024.11.30
-
한국 사진사2024.12.021. 한국 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 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 사정으로 인해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 당시 조선은 폐쇄정책을 실시해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주변 국가에 있던 사진이 국내로 이입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였다. 계속되는 서양 자본주의 세력의 통상과 개항 요구는 프랑스와 미국의 전쟁 형태의 싸움으로까지 이어졌고 이후 쇄국정책이 더욱 강화되었다. 1873년 대원군이 물러나기까지 우리나라는 쇄...2024.12.02
-
사진사와미학 22024.11.261. 한국 사진의 역사 1.1. 한국 사진의 기원 1.1.1. 최초의 사진 기록 한국에서 최초로 사진이 촬영된 것은 1863년 조선 연행사 일행이 북경에 갔을 때의 일이다. 이들은 당시 러시아 공사관 사진관에서 여섯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이것이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2008년 새로이 발견된 사진 기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전에는 1997년 발견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선 갑판에서 촬영된 세 장의 조선인 사진이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863년 연행사 일행...2024.11.26
-
사진사와 미학 2차 과제2024.11.261. 한국 사진사 개관 1.1. 한국 사진의 기원 한국 사진의 기원은 1860년대와 18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에 사진이 처음 도입된 시기는 문헌상으로 1863년이다. 당시 북경의 러시아관에 파견된 연행사절단의 정사 이의익이 초상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때 "사진"이라는 용어가 『연행일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서양에서 사진을 "빛으로 그린다"는 의미의 "photography"라고 명명한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다"는 의미의 "사진(寫眞)"이라는 용어가 탄생...2024.11.26
-
사진사와 미학2024.10.151. 한국 사진의 역사와 발전 1.1. 서론 우리는 사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 카메라, 퓰리쳐 상,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먼저 떠올리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마 사진술을 처음 발견하고 발명한 사람들이 외국의 사람이며 한국에서는 사진작가, 사진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사진역사 전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 과정으로 이뤄졌다. 포토그라피(Photography)를 새로 번역하지 않고 사진(寫眞, 베낄 사/참 진)이라는 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시대와 전쟁, ...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