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회로이론2024.10.071. 전동기와 로봇 및 지능형 제조의 관계 1.1. 직류전동기의 로봇 적용 직류전동기는 로봇 기술의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직류전동기는 높은 속도 제어성과 응답성으로 인해 로봇의 정밀하고 섬세한 움직임을 구현하는데 효과적이다. 직류전동기는 로봇 구동부의 핵심 동력원으로 활용된다. 로봇 팔, 주행 시스템, 관절 구동 등 다양한 로봇 시스템에 직류전동기가 적용되어 정밀한 제어와 고속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로봇 관절의 경우 직류전동기를 통해 토크와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연하고 자연스러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2024.10.07
-
로봇과 관련 사고 통계2024.10.091. 4차 산업혁명과 AI, 로봇 1.1.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핵심 기술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핵심 기술은 다음과 같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과 기계화로 대표되는 1차 산업혁명,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본격화된 2차 산업혁명, 1969년 인터넷이 이끈 컴퓨터 정보화 및 자동화 생산시스템이 주도한 3차 산업혁명에 이어, 로봇이나 인공지능을 통해 실재와 가상이 통합되어 사물을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2024.10.09
-
로봇권2024.11.171. 로봇의 개념과 발전 1.1. 로봇이라는 용어의 탄생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로봇(Robot)이란 용어는 기계공학 분야에서 정의한 전문 용어도 아니고 SF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미래 사회에 대한 상상을 전제로 탄생된 용어도 아니다. 오히려 그 어원은 다소 놀랍게도 카렐 차페크(Karel Capek)(1890~1938)라는 작가에 의해 1920년에 저술한 SF 희곡 '로섬의 유니버설로봇 (Rossum's Universal Robots(일명 R.U.R이라고 한다.)))'에서 처음 만들어진 단어이다. 체코슬로바키아의 극작가였던 카렐...2024.11.17
-
로봇의 개요2024.12.101. 로봇산업의 개요와 국내외 동향 1.1. 로봇의 어원, 개념 및 종류 1.1.1. 로봇의 어원 로봇(Robot)이란 단어는 1921년 초연된, 체코 출신 극작가 카렐 차페크(Karel Čapek)의 연극 Rossum's Universal Robots(R.U.R., 로섬의 만능 로봇)에서 처음 등장했다. 로봇이 란 단어 자체는 작가의 형이자 화가, 소설가였던 요세프 차페크(Josef Čapek)가 '강요된 노동', '농노 또는 소작농의 노동' 을 뜻하는 체코어 Robota에서 고안한 것으로 알려진다. 같은 어원을 가진 체코어 ...2024.12.10
-
4차산업혁명과 간호정보2024.12.141.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영역의 변화 1.1. 4차 산업혁명이란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 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디지털 기기와 인간, 물리적 환경을 융합하여 산업의 구조와 생산과정의 변화를 야기하며, 전체 산업의 생산과 분배 그리고 소비 형태를 빠르게 바꾸고 있다. 이처럼 초연결과 초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 더 빠른 속도로 크게 영향을 미친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2024.12.14
-
Ai의 악영향2024.11.221.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발전이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1.1. 자립생활에 대한 긍정적 영향 1.1.1. 이동권 보장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발전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체가 절단된 장애인의 경우, 이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지만 이제는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다리를 잃어버린 장애인도 마치 다리가 있는 사람처럼 이동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발달로 가능해진 것이다. 미국과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신체가 절단된 장애인들에게 맞춤형 AI 웨어러...2024.11.22
-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이해2024.10.151.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 1.1. 산업혁명의 역사 및 특징 '산업혁명'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18세기에 프랑스 학자들이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고, 1884년에 일반화되었으며, 1906년 프랑스 역사학자 폴 망뚜가 저술한 저서에서 학술용어로 정착되었다. 산업혁명이란 'Industrial(양적 변화)'과 'Revolution(질적 혁신, 변혁)'의 합성어로, 기술 혁신과 이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로 사회·경제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정치구조와 사업 주체에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혁명이 일어나는 이유는 신기술의 등장으로...2024.10.15
-
사물인터넷 간호사2024.08.29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 1.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 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디지털 기기와 인간, 물리적 환경을 융합하여 산업의 구조와 생산과정의 변화를 야기하며, 전체 산업의 생산과 분배 그리고 소비 형태를 빠르게 바꾸고 있다. 이처럼 초연결과 초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 더 빠른 속도로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1.2....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