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폐기종 케이스2024.10.041. 폐기종 사례 및 문헌고찰 1.1. 사례소개 73세 남성 서씨는 일주일 전 활동을 하면 숨을 하게 헐떡이게 된다며 호흡기내과 외래를 방문하였다. 서씨는 흉부 X-ray와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등을 실시하고 폐기종 진단을 받았다. 서씨에게는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지속적인 산소치료가 처방되었으며 간호사는 산소기구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가정방문하여 측정한 서씨의 활력징후는 BP 140/80mmHg, Pulse 96회/분, Resp 22회, Temp 36.8°C이며 O2 saturation으로 측정한 결과 안정 시 83%가 나...2024.10.04
-
술기 대본2024.10.231. 건강사정 실습 술기 1.1. 시야 사정 시야 사정은 시야기능을 평가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시야 사정은 대면법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대면법에서는 검진자가 대상자의 눈높이에서 1m 떨어진 곳에 선 뒤, 한쪽 눈을 가린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며 대상자에게 처음 보이는 시점을 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양쪽 눈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다. 시야 사정의 목적은 대상자의 시야를 평가하여 정상적인 시야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시야 범위는 중심에서 좌우로 각각 약 90도, 위아래로 약 60도 정도이다. 따...2024.10.23
-
성인간호 현문사2024.09.291. 항상성 유지 1.1. 체액과 전해질 1.1.1. 체액과 전해질 생리 체액과 전해질 생리는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액은 성인 체중의 55~60%를 차지하는 신체의 가장 풍부한 구성 요소이다. 체액은 크게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과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ECF)으로 나뉘며, 전해질은 이들 체액 구간에 녹아 있는 염류 및 광물질 입자로서 전기를 띤 이온이다. 세포내액은 총 체액의 2/3를 차지하며, 체중의 40%에 해당한다. 세포내액은 세...2024.09.29
-
간호사 혈액검사 정리 및 해석 분석2024.11.251.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 혈액검사 정리 1.1. 혈액학적 검사 1.1.1. 전 혈구 검사(CBC) 전 혈구 검사(CBC)는 혈액의 혈구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산소와 영양물질 공급, 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이나 세균, 유해물질 제거, 출혈 시의 혈액 응고 등 혈구의 주요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혈구 성분에 대한 양적, 질적 정보를 제공하므로, 전반적인 혈액학적 상태를 파악하는 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 중 하나이다. 악성 혈액질환의 진단과 추적 관찰, 수술 전 기...2024.11.25
-
병동에서 응급보고가 필요한 상황2024.11.04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요 산소요법은 산소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요법이다. 숨을 들이마실 때 산소농도가 낮을 경우, 폐포로부터 혈액으로 산소운반이 잘 되지 않을 경우나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쁠 경우에 적용한다. 산소요법을 시행하는 기본적인 목표는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 있다.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약 21%인데 대기 중의 산소로 신체의 산소 ...2024.11.04
-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2024.11.22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1.1.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은 일시적인 빈호흡을 주증상으로 하는 양성 질환이며,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것이다. 주로 만삭아에게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미숙아에서도 발견되며, 분당 호흡수는 80~120회 정도로 빠르게 호흡한다. 신생아들의 약 1%정도에게 나타나며, 치료와 함께 몇 일 이내로 회복된다. TTN을 가지고 태어나는 아...2024.11.22
-
기도개방성 유지 체위 종류2024.10.251. 호흡기계 환자 간호 1.1. 기도 개방성 유지 1.1.1. 체위 종류 및 변경 체위 종류 및 변경은 호흡기계 환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간호 중재이다. 체위 변경은 체위배액을 위한 것으로, 각 폐구역에 따라 적절한 체위를 취함으로써 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폴러 체위(Fowler's position)는 45도 정도 상체를 들어올리는 자세로, 폐 확장을 최대로 하여 호흡곤란 시 유용하다. 필요한 경우로는 호흡곤란, 배농관의 배액, 흉곽수술 후, 심장수술 후, 심장질환, 또는 수술 후 등이다. 좌위(...2024.10.25
-
celluitis2024.09.041. 대상자 기본 정보 1.1. 개인정보 38세 주부인 여성 조○○님은 11/20경 Rt inguinal site mass 촉지되어 observation 하다가 size 커지며 통증이 동반되어 local 방문 하였으나 큰 병원 recom 받아 본원 opd 통해 admition 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다. 조○○님은 38세의 여성 주부이다"" 그녀는 Rt inguinal site mass가 있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local 병원을 방문한 뒤 본원에 입원하였다"" 1.2. 건강정보 38세 주부인...2024.09.04
-
성인간호학 MICU ARDS 사례 연구2025.02.021. 서론 1.1. ARDS 정의와 중요성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은 증가된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으로 인한 양측성 폐 침윤과 심한 저산소증으로 특징지어지는 염증성 폐 질환이다. 증상은 힘들고 빠른 호흡, 짧은 호흡, 낮은 혈압 및 장기 부전으로 나타나며, 심한 정도는 폐포 상피세포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르다. ARDS는 급성 폐 손상과 구분되며, 동맥혈의 산소 분압을 투여하여 산소 농도로 나눈 값이 200 이하일 때를 ARDS라고 한다. ARDS는 만성 폐질환의 병력없이 내, 외과적 손상에 노출된 후 발생하며 치사율이 50~6...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