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2024.11.021.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 1.1. 도서관의 역할과 가치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보고 공부하는 장소를 넘어, 시민들의 지적 능력을 신장시키고 발전시키는 창조적인 기관이다. 도서관은 시민들에게 지식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시민들의 역량 향상과 더 나은 사회 구현에 기여한다. 도서관은 시민들의 활동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로, 특히 시민들을 위한 지적 인프라를 만들어나가는 최고의 장소이다. 도서관은 사회 구성원들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교육과 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역량 ...2024.11.02
-
수자원공학9장2024.10.201. 서론 1.1. 머리말 최근 국내외 전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환경공학 분야에서도 관련된 연구개발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초연결, 초지능 및 융복합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주요한 기술들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차세대 통신기술, 로봇, 블록체인, 드론, 3D프린터, 빅데이터, 무인 운송수단, 바이오 공학, 신소재, 공유경제, VR/AR 등이 있다. 인공지능(AI)과 정보 통신기술(ICT)는 전공 교수님들께서도 환경공학과 연계하여 많이 말씀해주신 내용이므로 AI와 I...2024.10.20
-
엔비디아의 경쟁력2024.08.271. 서론 엔비디아 Nvidia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해 가속 컴퓨팅 시장을 개척했습니다. AI와 메타버스 세계는 이미 우리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게임에서 로봇 공학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산업이 변화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생명을 구하는 의료 서비스고도화, 기후 변화 예측, 모두를 연결하고 창조할 수 있는 세계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AI 기술 혁신에 대표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NVIDIA를 사업 모델과 주요 제품및 서비스 전략, 재무 성과, 그리고 주식 가치 등에 대하...2024.08.27
-
ai 반도체 기술2024.08.281. 인공지능 반도체 개요 1.1. 인공지능 반도체의 정의 및 특징 인공지능(AI) 반도체는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기술 중 학습·추론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연산처리를 저 전력 및 고속 처리 등 효율성 측면에서 특화된 반도체를 의미한다. 인공지능 반도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반도체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구현 목적에 따라 크게 학습용과 추론용으로 구분된다. 학습용 인공지능 반도체는 딥 러닝 등 기계 학습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반복적으로 지식을 배우는 데 사용된다. 추...2024.08.28
-
대학도서관운영론2024.08.281.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 1.1. 사서직의 전문성 사서직의 전문성은 문헌정보학적 전문성과 주제전문성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문헌정보학적 전문성은 대학에서 문헌정보학을 이수하면 습득할 수 있는 기본적 능력이다. 문헌정보학은 복합 학문의 성격이 강하여 문헌정보와 지식정보를 다루는 광범한 지식 및 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따라서 사서는 문헌정보학의 이론 및 실무를 체계적으로 연마하면서 인간으로서 인간을 대하는 예절 및 태도 등 실천적 인간관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주제전문성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2024.08.28
-
블랙아웃2024.09.081. 카카오 디지털 정전(디지털 블랙아웃) 문제와 해결방안 1.1. 카카오 디지털 정전 현황 카카오가 멈추자 카카오 주요 서비스로 연결돼 있던 시민들의 생활도 멈췄다.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이틀에 걸친 카카오 먹통 사태는 전국적 디지털 블랙아웃(대정전)을 방불케 했다. 채팅 메신저로 시작한 카카오 서비스가 금융과 쇼핑, 이동수단 등으로 무한확장하며 일상생활 전반에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불은 전날 오후 3시19분쯤 경기 성남 SK 판교 캠퍼스 A동 지하 3층에서 났다. 이날 화재는 전기실 내 배터리 주변...2024.09.08
-
좋아요는 독후감2024.09.101. 소개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는 디지털 기술과 환경 문제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디지털 인프라의 복잡성과 그 영향을 다루는 책이다. 저자 기욤 피트롱은 이 책을 통해 디지털 세계가 우리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뒤에는 복잡한 물리적 인프라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디지털 기술의 보다 현실적인 면을 탐구하는 이 책은 '좋아요'나 이메일과 같은 디지털 행위가 어떻게 물리적인 인프라를 통해 이루어지는지 설명한다. 저자는 디지털 세계의 확장과 디지털 콘텐츠 소비의 증가로 인해 지구는 더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