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대장암 간호사례 발표2024.10.1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결장암(대장암)은 2013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1년에 우리나라에서 연 218,017건의 암이 발생되었는데, 그 중 결장암은 남녀 합쳐서 연15,674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7.18%를 차지했다. 남녀 발생건수는 남자가 연 9,228건, 여자가 연 6,226,건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한다. 또한 남녀를 합쳐서 본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9.3%로 가장 많고, 70대가 27.2%, 50대가 21.9%, 2~10%빈도로 젊은 사람에게도 발생하고 있는...2024.10.17
-
대장암2024.09.301. 대장 해부생리 1.1. 맹장 맹장은 대장의 시작부위인 큰 맹낭으로, 하단에 충수가 부착되어 있다. 맹장간막에 의해 후복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2개의 판막으로 된 회맹판이 있어 대장의 내용물이 소장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있다. 또한 이곳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으로 염증이 쉽게 올 수 있는데, 이를 충수염이라고 한다. 진행시 충수가 파열되어 세균을 함유한 내용물이 복강의 여러 장기에 퍼지게 되면 복막염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맹장과 충수의 연결부분을 진단할 때는 맥버니 점을 이용하며, 이는 배꼽과 우상전장골극을 연결하...2024.09.30
-
대장암 case2024.09.301. 대장암(Colorectal Cancer) 1.1. 개요 및 역학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 중 두 번째로 많은 암으로, 201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32,255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대장암(C18~C20)은 28,111건으로 전체의 12.1%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54.9건이며, 남녀의 성비는 1.5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70대가 2...2024.09.30
-
내시경간호기록지2024.10.021. 내시경 검사의 정의 및 종류 1.1. 내시경의 정의 내시경은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 기구"이다. 광학계를 함께 조작할 수 있는 관을 장기에 삽입하고 기체 또는 액체로 내강을 부풀게 하면서 관찰이나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시진 뿐만 아니라 생검 겸자를 써서 직시하에 생검이나 내강을 세정하여 세포진찰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은 의료진이 인체의 내부 장기나 체강을 직접 관찰하고 필요 시 치료적 처치를 할 수 있는 중요한 의료 기구라고 할 수 있다." 1.2. 내시경의 종류 1.2.1....2024.10.02
-
성인간호학 실습 소화기내과 내시경검사 종류 및 간호2024.10.151. 내시경 검사의 이해 1.1. 위내시경 (EGD) 1.1.1. 검사 목적 및 적응증 위내시경 검사의 주된 목적은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함으로써 염증이나 종양 등의 병변을 진단하는 것이다. 위내시경 검사는 상부 위장관의 병변을 직접 관찰하여 진단할 수 있으므로, 연하곤란(Dysphagia),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 등의 상부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나 간경화증과 같이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시행한다. 또한 상부 위장관의 궤양이나 암을 감별하기 위해서도 위내시경 ...2024.10.15
-
성인간호학실습 소화기내과 사전학습 내시경검사 종류 및 간호중재2024.10.151. 내시경 검사 1.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1.1.1. 검사 목적 위내시경(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의 검사 목적은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함으로써 염증이나 종양 등의 병변을 진단하는 것이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단순한 진단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는 부위의 조직 검사 및 병변 절제, 출혈 시 지혈 등 치료적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1.1.2. 적응증 위내시경(Esophagogastroduodenoscop...2024.10.15
-
섭취량 저하와 관련된2024.11.241. 문헌고찰 1.1. 폐암의 병인 및 역학 폐암(Lung Cancer)은 원발성과 전이성이 있다. 폐암은 대장암과 신장암에서 전이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신체 어느 부위에서든지 전이될 수 있다. 폐 전이는 원발 부위를 발견하기 전에 진단될 수 있고, 때때로 시신 부검 시에만 발견되기도 한다. 과거 50년 동안 폐암의 발생빈도는 놀랄 만큼 증가해왔다. 1996년 우리나라 통계청이 발표한 사망 원인 통계에 의하면 폐암으로 인한 사망은 남자가 인구 10만 명당 28.7명, 여자는 10.0명으로 남자는 3위, 여자는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2024.11.24
-
신규간호사 내시경교육 임상 발표자료2024.10.141. 내시경 검사 1.1. 상부 소화기 내시경 검사 1.1.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위내시경(Esophagogastroduodenoscopy)은 위 및 식도, 십이지장 등 상부 소화기관을 내시경으로 관찰하는 검사이다. 내시경을 입을 통해 삽입하여 식도로부터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위내시경에는 일반 내시경(비수면 내시경)과 수면 내시경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일반 내시경은 깨어있는 상태에서 검사를 시행하며, 검사 전 기포제거...2024.10.14
-
내시경 검사 후 출혈 및 감염 예방2024.10.10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는 의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낱말이나 어구로,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이거나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용어들을 의미한다.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위암은 위 점막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크기가 크고 주변 조직으로 침윤된 암을 지칭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의미한다. 위장염은 위 점막의 급성 염증 상태를 의미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2024.10.10
-
위암의 진단 및 내시경적 절제술2024.10.091. 소화기 질환 1.1. 위염 1.1.1. 위염의 정의 위염이란 위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일반인의 경우 속쓰림이나 소화불량, 상복부 통증 등의 증상을 위염이라고 생각하지만, 임상의사나 내시경의사, 병리의사의 관점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기준으로 위염을 정의한다. 내시경의사는 내시경검사상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견을 토대로 위염을 진단하며, 병리의사는 위장 점막의 조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염을 진단한다. 따라서 위염에 대한 정의는 상대적이며 관찰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의학적인 관점에서는 위내시경 또...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