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2024.09.231. 공학과 뇌 과학의 융합 1.1. 공학과 기술의 사회적 영향 공학은 과학적 이론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공학의 특성으로 인해 공학 기술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첫째, 공학 기술은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안락하게 만들어왔다. 전기, 통신, 교통,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된 공학 기술은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해왔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자동차, 냉난방기기 등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크게 변화시켰다. ...2024.09.23
-
스마트 뇌파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알츠하이머 및 파킨슨병 조기 진단2024.09.291. 뇌과학의 개념과 발전 1.1. 뇌의 구조와 기능 뇌는 막과 액체에 의해 이중으로 보호를 받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사고, 운동, 지각, 생명 유지를 위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대뇌는 뇌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추신경계의 중추이며 운동, 감각, 언어, 기억 및 고등 정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두 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치에 따라 좌반구 또는 우반구라 불린다. 좌반구는 주로 언어 기능, 숙련된 동작, 계산하기 등의 기능을 보유하며, 우반구는 도형 그리기, 길 찾기, 블록 쌓기 등의 시공간 능력을 갖추고 있다...2024.09.29
-
화학에서 인생을 배우다2024.10.231. 뇌와 마음 1.1. 뇌 읽기, 마음 읽기 뇌는 겨우 1.4킬로그램 남짝한 크기지만, 감정을 주관하고 고차원적인 생각을 유도하며 움직임을 주도하는 기관이다. 스트레스로 점철된 사회에서 행복해지는 방법은 마음을 주관하는 곳, 바로 뇌를 건강하게 하는 것이다. 마음을 분석했던 프로이트의 시대로부터 100여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뇌를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조정하고 싶어 한다. 이제는 뇌와 AI를 연관지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AI를 이용해 수집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는 환자에게 맞는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2024.10.23
-
4차산업혁명기술과자동차 IT 자동차 컨버전스2024.10.161. ICT 융합 및 로봇 산업에 대한 이해 1.1. ICT 융합의 개념 및 정의 'ICT 융합'은 "'특정 산업 및 기술 영역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이종분야의 기술, 학문, 제품, 산업 등이 서로 섞이는 현상과 활동의 포괄적인 의미'"이다. 최근 미국, 유럽의 주요 선진국에서는 ICT 활용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산업 생산력 증대, 신산업 동력 창출을 위해 다양한 사회 분야에 융합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10년에 "ICT의 Sensing, Networking, Computing, Actuating 기술이 ...2024.10.16
-
지체장애인을 위한 brain-computer interface2024.10.131. 사이보그 기술의 윤리적 쟁점 1.1. 사이보그 대상의 범위 사이보그 대상의 범위는 인류에만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사이보그란 생물과 기계장치가 결합한 존재로, 생물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한다. 세계 동물 권리 선언에 따르면 모든 동물은 삶의 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명체를 가진 동물들 또한 사이보그 기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유인원과 같이 인간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왔던 점을 고려할 때, 신체적 장애를 가진 동물들도 치료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윤...2024.10.13
-
생체칩2024.11.181. 서론 1.1. 뉴럴링크 기술의 현황 뉴럴링크 기술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뉴럴링크는 2016년 일론 머스크와 맥스 호닥이 설립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기업이다. 이 기업은 뇌에 작은 칩을 이식하여 뇌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돼지에 동전만한 크기의 칩을 이식하고 그 활동과 뇌 신호를 컴퓨터로 포착하는 장면을 공개하여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이를 통해 뇌에 칩을 삽입하여 뇌 활동을 감지하고 심지어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식했던 칩을 제거한 뒤에도 돼지가 정상적...2024.11.18
-
생체칩 아이디어2024.11.181. 사이보그 기술의 현재와 미래 1.1. 사이보그의 대상과 범위 사이보그의 대상과 범위는 인류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보그의 어원인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물(Organism)의 합성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이보그의 대상은 생물 그 자체이다. 세계 동물 권리 선언에 따르면 모든 동물의 삶은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므로, 의공학을 통한 의료 기술의 혜택 대상을 인간으로만 한정시킬 필요가 없다. 신체적 장애가 있는 동물 또한 사이보그의 대상으로서 치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자 차이가 불과 1.6%...2024.11.18
-
생체칩 발표2024.11.171. 뇌 인공칩 기술의 현황과 영향 1.1. 서론 우리는 매일 다양한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살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뉴럴링크의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뉴럴링크는 2016년 일론 머스크와 맥스 호닥이 설립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생명공학 스타트업 기업이다. 뉴럴링크는 뇌에 칩을 이식한 돼지의 활동과 뇌 신호를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장면을 공개했고, 전 세계는 일제히 뉴럴링크 기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동전만큼 작은 칩을 뇌에 이식하여 뇌의 ...2024.11.17
-
생명과학2 질병2025.01.031. 생명과학과 화학의 융합 1.1. 생명과학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윤리적 쟁점 1.1.1. 유전자 가위 기술의 문제점과 장단점 유전자 가위 기술의 문제점과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DNA 서열의 특정 부분을 정교하게 편집하여 원하는 형질을 가진 생물체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질병 치료, 농업 생산성 향상, 생물 다양성 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천성 유전병을 가진 환자의 유전자를 정상적으로 수정할 수 있으며, 식량 작물의 영양성분을 개선하거나 ...2025.01.03
-
mrna 백신에 대한 심화탐구2024.08.121. 생명공학과 인간의 미래 1.1. 생명공학의 발전과 영향 생명공학은 20세기 말부터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이는 인간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은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명체 개선, 질병 치료법의 혁신, 수명 연장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생명공학은 유전자 조작 기술을 통해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명체를 개선하거나 새롭게 창조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 조작 기술은 농업과 식품 생산 분야에서 수확량 증가와 병해충 내성 작물 개...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