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임상포트폴리오 심장2024.10.091.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 1.1. 투석의 정의 및 종류 투석이란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투석의 종류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혈액투석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팔의 내측에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만든 동정맥루를 통해 투석을 시행하며, 동정맥루가 없는 경우에는 목 부위의 정맥에 카테터(도관)를 삽입하여 투석을 시행한다. 동정맥루에 두 개의 주사관을 꽂아 투석기(dialyzer)와 연결하면, 혈액이 투석기를 통과하면...2024.10.09
-
투석2025.01.20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이란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투석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며,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고 요독증상을 완화하며 고혈압을 조절하고 빈혈 상태를 개선하여 사회적 재활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투석은 사구체 여과율이 약 15mL/min/1.73m2 이하일 때, 오심,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소양증, 골이영양증, 발육 부진 등의 유의한 요독증이 있을...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