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화학탐구보고서2024.09.041. 항생제의 구조와 작용 원리 1.1. 항생제의 분류와 세균에 대한 작용 기전 항생제는 크게 작용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세균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이다. 베타-락탐계 항생제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세균 세포벽 합성의 핵심 효소인 펩티도글리칸 합성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생장과 증식을 막는다. 이처럼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세균을 사멸시키는 항생제는 대부분 인체 세포에는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선택적 독성을 나타낸다. 둘째,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이다. 리보솜에 작용하여 단백질 ...2024.09.04
-
간호미생물학2024.10.111. 미생물의 기초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미생물이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매우 작은 생물체를 일컫는 말이다. 미생물은 세포 구조에 따라 크게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구분된다. 원핵세포에는 세균과 고세균이 속하며, 진핵세포에는 진균, 원생생물, 동물, 식물 등이 속한다. 세균은 단세포 원핵생물로, 핵막과 세포기관이 없이 단순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인 펩티도글리칸은 세균의 특징적인 구조이며, 이 펩티도글리칸 층의 두께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된다. 펩티도글리칸 층이 두꺼운 그람...2024.10.11
-
병원감염관리 사례2024.09.021. 병원감염의 정의와 특징 1.1. 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이란 "입원 당시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또는 외과 수술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각 조직 및 기관에 상재하는 정상균무리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을 의미하며, 외인성 감염은 외부로부터 미생물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즉, 요로 또는 정맥 카테터, 기타 침습적 시술이나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감염되는 경우를 외인성 ...2024.09.02
-
간호미생물학 요점2024.09.011. 병원미생물학 개요 1.1. 미생물의 분류와 형태 미생물은 눈으로 관찰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생물체들이다. 이들은 크기, 모양, 구조, 생리적 특성 등에 따라 분류된다. 미생물은 주로 세균, 리케차, 클라미디아, 진균, 원생동물, 바이러스 등으로 구분된다. 세균은 가장 작은 생물체로 원핵세포(prokaryotic cell)의 구조를 가진다. 세균은 크기, 모양, 배열 관계, 염색 반응에 따라 알균, 막대균, 나선균 등으로 분류된다. 세균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람염색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2024.09.01
-
항생제2024.08.271. 항생제 개요 1.1. 항생제 정의 항생제란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확장을 막기위한 목적으로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이다. 이러한 항생제는 인체세포에 긍정적인 작용기전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오남용을 할 경우 오히려 인체세포에도 해로울 수 있다. 항생제는 페니실린 계열, 마크로라이드계열, 설폰아마이드 계열, 퀴놀론계열, 세팔로스포린 계열 등으로 분류된다." 1.2. 항생제 종류 항생제는 크게 베타락탐계, 테트라사이클린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마크로라이드계, 링코마이신계, 글리코펩티드계, 퀴놀론계 등으로 분류된다. 베타락탐계...2024.08.27
-
항미생물2024.08.201. 서론 1.1. 항미생물제의 개요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s)는 미생물의 생장이나 생존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화합물 또는 합성화학물을 의미한다. 항미생물적 화학치료(antimicrobial chemotheraphy)의 목적은 숙주 세포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 감염 원인을 없애도록 감염된 사람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항미생물제는 주로 1 mg/ml 이하의 농도에서 작용하는 저분자(150~5,000 Da) 화합물을 의미하며, 라이소자임, 박테리오신, peptide 등 분자량이 크거나 생물학적으로 합성되는 ...2024.08.20
-
천연항생물질2024.09.031. 항생물질의 역사와 개발 1.1. 항생물질의 발견과 개발 과정 항생물질의 발견과 개발 과정은 20세기 의약 분야에서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은 우연히 푸른곰팡이의 배양물이 그람음성 병원균에 대해 치사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페니실린의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항생물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1940년대에는 다양한 과학자들에 의해 중요한 항생물질들이 발견되었다. 셀만 왁스만은 토양에서 분리된 세균으로부터 스트렙토마이신을, 화이...2024.09.03
-
배양검사 종류2025.03.211. 배양검사 종류 1.1.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는 패혈증 및 균혈증의 원인균을 진단하기 위해 배양하는 검사이다. 원인균을 진단하고 원인균에 맞는 약물을 사용하기 위해 시행한다. 혈액배양검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멸균적으로 소독된 D-set을 연다. 정맥이 도드라진 천자부위를 지름 5mm 정도 포비돈 솜으로 소독한다. 알코올이 마르면 포비돈으로 소독하는데, 소독효과가 나려면 2-3분 지나야 한다. 이후 blood culture 병 두 개의 뚜껑을 열고 알코올솜으...2025.03.21
-
특정 범위의 약물 작용기전2025.03.091. 항균요법의 원리 및 화학요법제 1.1. 항균요법의 정의와 종류 항균요법은 병원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이다. 항균요법은 크게 정균작용과 살균작용으로 나뉘며, 이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적 합성물질을 항균요법제라고 한다. 항생제는 곰팡이나 세균들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다른 미생물의 침입을 방해하려고 분비하는 물질이다. 1.2. 화학요법제의 항균범위 화학요법제의 항균범위는 투여 시 각종 병원 미생물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이다. 항생물질이나 화학요법제가 효력을 미치는 병원 미생물의 범위와 그 작용 강...2025.03.09
-
디스크 확산법2025.03.171. 디스크 확산법 1.1. 항생제와 내성 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존을 막는 물질이다.[1]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세균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1] 항생제를 복용할 경우 인체에 유익한 세균을 죽일 수 있으며 메스꺼움이나 설사와 같은 부작용 유발 등의 이유로 인해 항생제 복용은 감염의 성격과 심각도, 개인의 면역체계 상태, 항생제의 부작용 또는 알레르기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적절한 요법으로 사용해야 한다.[1] 항생제 내...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