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ADPKD2024.09.301.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1.1. 정의 및 역학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은 포도송이처럼 생긴 액체가 들어있는 다수의 낭포들이 콩팥의 정상조직에 대치되는 유전적인 장애이다"" ADPKD는 폴리시스틴(polycystin)이라고 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결함이 생겨서 발생하며, PKD1(16번 염색체 단완) 또는 PKD2(4번 염색체 장완)의 유...2024.09.30
-
ERCP 시술 간호사 준비사항 및 절차2024.11.251.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1.1. 정의 및 개요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와 췌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이다. 십이지장에서 관찰되는 유두부를 통해 가느다란 도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통해 담도와 췌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주로 담관 및 췌관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된다. ERCP는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유두부를 통해...2024.11.25
-
난소낭종2024.08.191. 서론 1.1. 난소종양에 대한 문헌 고찰 난소는 골반 내 자궁의 양측에 위치하며, 난자를 생산하고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여성의 생식기관이다. 난소는 월경주기에 맞추어 배란을 일으키며, 난관은 배란된 난자를 수집하고 이송하고, 자궁은 수정된 배아가 착상하여 수태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난소에는 다양한 종양이 생길 수 있는데 크게 암에 해당하는 악성 종양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나눌 수 있다"" 난소의 양성종양은 대부분 주기적으로 배란을 하는 20~40대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지만, 일부는 소아나 사춘기에 발생하기도 한다....2024.08.19
-
Ncv2024.09.051. 신경계 검사 및 시술 1.1. Brain CT (Brain Computed Tomography) 1.1.1. 검사 목적 Brain CT (Brain Computed Tomography)의 검사 목적은 빠르고 정확하게 신경계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척추나 척수, 머리뼈, 뇌의 횡단면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혈종, 종양, 낭종, 뇌수종, 뇌위축, 뇌부종 등을 진단하기 위함이다.Brain CT 검사는 신경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뇌의 횡단면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여 뇌내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혈종...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