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0개
-
기흉 케이스스터디2025.01.181. 서론 1.1. 기흉 정의 및 원인 기흉이란 가슴막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기흉의 가장 큰 원인은 가슴막 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가슴 수술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외상이다. 가슴막 천자, 가슴 수술, 양압 환기 등의 의료행위 과정에서 가슴막이나 폐가 손상되어 공기가 가슴막강으로 유입되면서 기흉이 발생한다. 또한 폐결핵,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만성 폐질환에서도 원인 불명의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기흉은 의인성 요인과 병적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1...2025.01.18
-
기흉과 혈흉 치료법 및 관리2025.01.191. 서론 1.1. 흉곽 해부와 생리 정상적인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운반하는 한 가지 기능을 하는 액체로 채워진 기관이다. 심장은 종격동에 위치해 있으며 신체의 변화 요구에 적응한다. 종격동은 기도, 식도, 대동맥과 주요 혈관과 구조들을 에워싸고 있다. 폐는 엽으로 구분되는데 오른쪽 폐는 3개의 엽, 왼쪽 폐는 2개의 엽으로 되어 있다. 흉곽은 밀폐된 곳으로 혈관과 기관지를 통해 종격동에 연결되어 있다. 밀폐된 폐는 횡격막과 종격동에 인접하여 있다. 폐를 둘러싼 흉벽은 sternum에 연결된 흉벽 어느 한쪽의 늑골을 함유하고 있...2025.01.19
-
vincent brody2024.11.261. 환자 정보 및 의학적 정보 1.1. 환자 기본 정보 환자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 환자는 67세의 남성 COPD 환자로 3년 전에 폐기종을 진단받았으며, 현재 COPD 증상이 악화되어 직접 입원하였다. 환자의 키는 172cm, 체중은 70kg이다. 50년 동안 하루 2갑의 흡연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징적인 barrel chest(술통형 가슴)와 clubbed finger(곤봉 손가락)이 관찰된다. 현재 비강 캐뉼라를 통해 2L/min의 산소를 투여받고 있으며, 94%의 산소포화도를 유지하고 있다. 1.2. 진단명 및 입원...2024.11.26
-
폐 쐐기 절제술2025.01.21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병태생리 기흉이란 공기라는 의미의 '기(氣)'와 가슴이라는 의미의 '흉(胸)'이 합쳐진 말로,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 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어 호흡곤란이나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폐와 흉벽 사이에 약 10~15cc의 흉수가 있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이 흉막강에 공기가 차게 되면 폐가 찌부러지게 되어 호흡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흉의 발생 원인은 크게 넷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폐 조직 내에 발생한 공기 주머니(기...2025.01.21
-
폐 쐐기 절제술2025.01.21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발생 원인 기흉이란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 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어 호흡곤란이나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기흉은 원인에 따라 외상(外傷) 없이 저절로 발생한 '자연기흉'과 외상에 의해 발생한 '외상성 기흉'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자연기흉은 10대 후반에서 30세의 키가 크고 야윈 남자에서 잘 발생하며, 이들 환자의 상당수는 흡연 경력을 가지고 있다. 일차성 자연기흉은 기존에 폐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 발생하고, 이차성 자연기흉은 기존에 폐질환이 ...2025.01.21
-
말초동맥 폐쇄질환 케이스스터디2024.10.131. 말초동맥폐쇄질환 1.1. 구조와 특성 동맥은 허파를 거쳐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을 좌심실로부터 온몸의 조직에 분포하는 모세혈관까지 전달하는 각종 혈관을 말한다. 동맥은 크기에 따라 대동맥, 동맥, 세동맥으로 구분된다. 좌심실과 연결된 대동맥으로부터 주요 동맥들이 분지되고, 다시 여러 번 분지를 반복하여 가느다란 굵기의 세동맥으로 분지한다. 이러한 동맥과 세동맥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전신으로 갈라져 모세혈관으로 이어진다. 동맥은 온몸의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고, 혈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돕거나 동맥의 가지가 상호간에 서로 ...2024.10.13
-
보훈병원 병태생리2024.11.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기흉이라고 하면 키가 크고 마른 사람에게서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폐질환으로 기흉이 오는 고령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대상자는 할아버지와 같은 질환을 갖고 계시기 때문에 눈 여겨 보고 싶어서 이에 대한 간호의 이해가 필요함을 느꼈다. 그래서 이번 case주제를 pneumothorax로 정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기흉은 원인에 따라 외상(外傷) 없이 저절로 발생한...2024.11.15
-
chest tube2024.11.131. 흉곽 튜브 삽입 1.1. 목적 흉곽 튜브 삽입의 목적은 흉부외상으로 인한 기흉, 혈흉 등으로 인해 폐가 허탈된 상태를 방지하고 흉막강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폐의 팽창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흉막강 내 체액, 혈액 또는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늑막내압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심장 수술 후에도 심장 주변의 수액 또는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mediastinal tube를 삽입한다. 그 외에도 흉막강의 폐쇄, 폐의 완전한 팽창, 악성 삼출물 제거 후 항암치료제 주입, 그리고 기흉, 늑막 삼출, 혈흉 등의 예방적 치료와...2024.11.13
-
기흉 A2024.08.18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중요성 기흉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외상에 의해서 생길 수도 있고 자연적으로 생길 수도 있는 기흉은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럽게 생기기 쉬운 질환일 뿐만 아니라 가볍게 여기고 방치하면 호흡곤란으로 인해 사망에 도달할 수도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흉강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 양쪽 폐와 심장 사이의 공간과 심장이 환쪽으로 쏠려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흉의 정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2024.08.18
-
기흉A2024.08.18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특성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외상에 의해서 생길 수도 있고 자연적으로 생길 수도 있는 기흉은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럽게 생기기 쉬운 질환일 뿐만 아니라 가볍게 여기고 방치하면 호흡곤란으로 인해 사망에 도달할 수도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기흉은 흉막강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폐가 허탈되는 것이 특징이며, 발생 원인과 발병 양상에 따라 자발성 기흉, 외상성 기흉, 긴장성 기흉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1...2024.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