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Home vent2024.10.091. Home Ventilator 1.1. 목적 'Home ventilator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환자의 생명 연장과 삶의 질 제공이다. 환자의 심한 불안과 불필요한 고통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므로, 급성치료 기관에서 가정간호로 인공호흡기 간호를 변화시키기 전 환자를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킨다. 둘째, 환자의 신체적, 생리적 기능 발달 및 강화이다. 급성치료 기관에서는 환자에게 친숙한 환경 제공이 어렵지만, 가정에서 환자는 재활과정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건강증진과 인공호흡기 이탈이 촉진된...2024.10.09
-
optiflow 산소요법교육자료2024.10.131. 개요 1.1. 진단명 및 환자 정보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이 환자는 77세 여성으로, 폐렴(Pneumonia, unspecified)을 진단받고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 환자는 결핵(완치 판정), 고혈압,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으며, 치매로 신경과 외래 진료 중이다. 입원 전 약 2-3개월 전부터 호흡곤란 증세가 있었으나 병원 방문을 하지 않았다가, 5월 18일 집에서 쓰러진 후 타 병원에 내원하여 기관삽관과 기계환기치료를 받았다. 이후 본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으며, 아직 기계환기 치료가 필요한...2024.10.13
-
외부식 환기량이 30-502024.11.111. 외부식 원형 후드의 필요 환기량 및 플랜지 설치에 따른 공기량 감소 1.1. 외부식 원형 후드의 필요 환기량 계산 외부식 원형 후드의 필요 환기량은 후드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의 양으로, 필요송풍량이라고도 한다. 후드의 환기량은 속도와 면적의 함수이다. 여기서 속도는 제어속도이고 면적은 후드의 개구면적이다.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로 들어가는 공기량(필요환기량)은 비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즉, 필요환기량은 시설 설치비용뿐 아니라 전기, 냉난방 비용 등 운영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필요환기량을 가능한 최소화하면...2024.11.11
-
인공호흡기적용환자 간호2024.09.031. 인공호흡기 개요 1.1. 정의 및 원리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란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이에 대한 지지 간호가 필요하다. 인공호흡기는 폐 기능 부전으로 인해 호흡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되는 장치로,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거나 인공적으로 호흡을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환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기계 환기의 방식이 달라지며,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기계환기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침습적 기계환기는 기관내...2024.09.03
-
acute respiratory failure2024.09.021. 급성호흡부전 1.1. 정의 급성호흡부전은 간단히 말하면 갑작스런 호흡기계의 장애로 정의할 수 있다. 충분한 산소를 얻지 못하여 신체대사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애를 동반하여 생명이 위협을 받은 상태를 말한다. 객관적 증거로서, 환자가 실내공기로 호흡할 때 동맥혈의 PaO2 < 50mmHg, PaCO2 > 50mmHg, pH < 7.30로 알 수 있다. 1.2. 병태생리 1.2.1. 환기부전 환기부전은 폐나 흉벽의 구조적 장애, 뇌의 호흡조절중추 결합, 호흡근의 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폐로 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2024.09.02
-
기본간호학 지침서2025.02.241. 서론 1.1. 기본간호학 지침서의 필요성 기본간호학 지침서는 대상자의 신체검진과 기본적인 간호중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여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중증도가 높은 대상자나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기본간호학 지침서는 대상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1.2. 주...2025.02.24
-
급성 호흡곤란 케이스2025.02.061. 서론 1.1.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정의와 특성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폐손상을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이다. 이로 인해 폐포-모세혈관 벽의 투과성 증가, 폐포강 내에 삼출액 증가, 시토카인의 증가, 폐 손상, 응고체계와 표면활성제의 이상 등이 발생하여 산소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중증 임상증후군이다. 현재 ARDS에 대한 병리 및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가 많이 발전했지만, ARDS로 인한 사...2025.02.06
-
내가생각하는 실내공간2025.03.241. 실내공간 디자인 계획 1.1. 공간의 목적 및 의도 본인이 공간 디자인을 위한 색채 디자인을 실시하고자 하는 공간은 본인의 작업실이다. 재택 근무를 병행하는 공간이자 컴퓨터 작업, 독서 등 주로 많은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을 하는 곳으로, 거실이나 침실 등 휴식을 목적으로 한 공간과는 차별화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한다. 집중이 필요한 일을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창의적인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다. 1.2. 공간의 색채계획 1.2.1. 주조색 선정 및 특성 명도가 높은 한색인 선명한 코발트 블루를...2025.03.24
-
A 받은 ARDS 성인호흡장애증후군 케이스 분석2024.09.301. 간호력 1.1. 환자정보 환자명은 박○○○이고, 나이는 74세, 성별은 남자이다. 학력은 중졸이며, 종교는 무교이고, 직업은 무직이다. 입원일은 2022년 9월 30일이며, 입원경로는 응급실이고, 진단명은 ARDS(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와 Miliary Tuberculosis(파종성 결핵)이다. 수술일은 2022년 10월 5일이며, 수술명은 기관절개술이다. 간호수행기간은 2022년 10월 8일부터 2022년 10월 12일까지이다. 1.2.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2.1. 정의 ARDS(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는 다양한 ...2024.09.30
-
Clinical Portfolio2025.03.191. Clinical Portfolio 1.1. Nursing Narratives 호흡기 내과 실습 중에 만난 박** (F/93) 님은 2월 16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2월 17일 기상 직후부터 호흡곤란이 심해지고, 왼쪽 하부 흉부 쪽에 쑤시고 결리는 양상의 통증이 나타나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119 구급차를 타고 들것에 실려 오전 9시 58분에 응급실에 도착하였고, 응급실에서 91병동 PI로 입원하기 위해 침대로 옮겨졌다고 한다. 담당 간호사가 대상자의 의식과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한 결과 의식이 깊게 졸리는 상태였고, 호...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