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마취과 약물2024.09.101.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1.1. 흡입마취제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하여 혈액으로 잘 용해되어 신속하게 작용하며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흡입마취제로는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 아산화질소 등이 있다. 세보플루란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낮은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 및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마취의 회복이 빠르므로 통증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데스플루란은 또 다른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외상...2024.09.10
-
Orif2024.12.311. 대상자 일반 정보 1.1. 인구학적 특성 대상자 유OO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OO은 38세의 기혼 여성으로, 직업은 간호사이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없으며 복용 중인 약물도 없다. 가족으로는 회사원인 38세 배우자와 8세, 6세 두 명의 아들이 있다. 경제적 수준은 중간 정도이다. 1.2. 과거력 및 가족력 과거력 및 가족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평소 운동량이 많지 않은 편이었으며, 고혈압, 당뇨, 심질환, 악성종양, 간질환, 호흡기 질환, 관절염, 혈액질환, 절단, 정신질환의 과거력은 없었다. 수두를 앓은 경...2024.12.31
-
약리학 정리2024.10.171. 항히스타민제 1.1. 세대별 특징 항히스타민제는 크게 1세대와 2세대로 구분된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으며 작용이 빠르지만 진정작용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1세대 약물로는 chlorpheniramine, diphenhydramine 등이 있다. 이에 반해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진정작용이 거의 없으며 작용시간이 오래 지속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cetirizine, fexofenadine 등이 대표적인 2세대 항히스타민제이다. 전반적으로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졸음 등의 부작용이...2024.10.17
-
약리학 정리2024.10.121. 항히스타민제 1.1. 히스타민의 생리작용 히스타민의 생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히스타민은 신경계, 심혈관계, 호흡계, 외분비선 등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신경계에서 히스타민 H1 수용체를 통해 통증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심혈관계에서는 H1 수용체 자극을 통해 국소적인 발적, 팽진, 삼출 등의 3중 반응을 일으켜 공격적 인자를 제거하는 방어기능을 한다. 호흡계에서는 기도 평활근 수축을 유발하여 천식 발작을 일으키지만, 이는 방어기능의 일환이다. 외분비선에서는 H2 수용체를 통해 위액 분비를 항진시킨다."" 히...2024.10.12
-
신경이완제악성증후군2024.12.171.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1.1. 정의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은 대부분 신경이완제 또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신경 질환이다. NMS는 일반적으로 근육경직, 불안, 정신착란 같은 인지적 변화로 나타나며, WBC증가, 혈중 creatine phosphokinase(CK)의 증가, myoglobinuria와 관련되어있다. 발생빈도는 NMS가 처음 정의된 후에 처방 습관의 변화로 많...2024.12.17
-
신경이완제악성증후군2024.12.171.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1. 정의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은 대부분 신경이완제 또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신경 질환이다. NMS는 일반적으로 근육경직, 불안, 정신착란 같은 인지적 변화로 나타나며, WBC증가, 혈중 creatine phosphokinase(CK)의 증가, myoglobinuria와 관련되어있다. 발생빈도는 NMS가 처음 정의된 후에 처방 습관의 ...2024.12.17
-
고관절 전치환술 시뮬레이션2024.08.281. 고관절 전치환술 1.1. 탈구 예방 삽입된 인공관절이 이탈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고관절 전치환술 후 탈구 예방의 핵심이다. 관절굴곡은 수술 후 6~7일에는 60°, 2~4개월에서는 90°ᄀ 정도로 제한하여 관절의 과도한 굴곡을 방지한다. 또한 2~3개월 동안 내전을 중앙선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여 탈구를 예방한다. 수술 받은 다리를 외전 및 신전한 상태로 수술 받지 않은 쪽으로 누워 정맥순환과 혈전형성 방지, 근육긴장 유지를 도모한다. 높은 변기와 팔걸이가 있는 의자를 사용하고, 말단부위의 내측, 외측 회전을 피하는 등 일...2024.08.28
-
수술직후 환자 관찰 및 간호2024.08.291. 마취간호 1.1. 마취의 종류 1.1.1.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중추신경계통을 억압시키는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무통, 기억상실, 무의식이 되며 제반사와 근 긴장도를 상실시키는 특징이 있다. 전신마취에는 흡입마취와 정맥마취, 직장마취가 있다. 흡입마취는 휘발성 마취제인 가스(gas)형태나 액체형태의 마취제를 마스크나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을 통해 직접 폐로 흡입시킴으로써 환자를 마취시키는 방법으로 상복부, 머리, 목이나 흉곽 수술 같은 대부분의 대수술에 사용된다. 흡입마취의 장점은 어떤 종류의 수술에도 적...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