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생물 실험2024.09.231. 일반 관찰 실험 1.1. 광학현미경 관찰 1.1.1. 구강 상피 세포와 양파 표피 세포 관찰 구강 상피 세포와 양파 표피 세포는 진핵세포이지만 그 구조와 특징에 차이가 있다. 먼저 구강 상피 세포를 메틸렌 블루 용액으로 염색한 뒤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의 핵뿐만 아니라 세포질도 잘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세포질에 비해 세포의 핵이 더 진하게 염색되어 구분이 잘 되었다. 이는 핵이 진핵세포에서 중요한 세포 기관으로, DNA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양파 표피 세포를 아세트올세인 용액으로 염색한 뒤 관찰했...2024.09.23
-
병원미생물학 미생물 분류와 관찰 문제2024.09.261. 미생물 염색 동정법 1.1. 실험 목적 현미경의 구조를 배우고 그람 염색의 원리와 방법을 숙지하며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관찰하여 미생물 분류의 기본을 익히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현미경은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까지 확대하는 장치이다. 그람 염색법은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 함량에 따라 염색시약들의 투과성이 다른 것에 착안한 방법으로,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종류를 동정하고 분류할 수 있게 된다. 1.2. 미생물의 형태 관찰 미생물의 형...2024.09.26
-
bacitracin optochin2024.11.031. 주변 상재균 검사 1.1. 배지 관찰 실험 결과 관찰에 따르면, 냉난방기의 필터에서 채취한 균은 한 개의 작은 colony가 형성되었고, 정수기에서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대에서는 하얀색과 노란색의 두 종류의 colony가 관찰되었고, 손톱 밑에서 채취한 균이 가장 큰 규모의 노란색 colony를 형성하였다. 그 주위로 작은 하얀색 colony들도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 결과로 볼 때, 손톱 밑에서 채취한 균이 가장 많은 양의 세균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2. Gram staining 결과 관...2024.11.03
-
배지만들기2024.11.031. 배지 만들기 및 미생물 배양 1.1. 배지와 조성 배지는 미생물을 성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영양분과 환경을 제공하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배양액이다.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의 조성은 미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및 성장인자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배지는 다음과 같은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탄소원: 미생물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당류, 유기산 등의 화합물 질소원: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이나 암모늄 이온 등 무기염류: 미생물 세포벽 및 효소 합성에 필요한 인, 황,...2024.11.03
-
H &e 염색 결과 및 고찰2024.11.241. 조직 슬라이드 제작 및 관찰 1.1. 파라핀 블록 제작 및 절편 파라핀 블록 제작 및 절편은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는 핵심 단계이다. 먼저, 조직을 파라핀으로 침투시켜 블록을 제작한다. 조직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파라핀으로 치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단한 블록을 만들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에탄올 탈수 과정을 거친 뒤 자일렌으로 투명화한다. 이후 액상 파라핀에 침투시켜 온도를 60도로 유지하며 완전히 치환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작된 파라핀 블록은 마이크로톰으로 5-10μm 두께의 절편을 ...2024.11.24
-
미생물검사의종류2024.08.311. 미생물 진단 검사 방법 1.1. 현미경 검사 현미경 검사는 검사하고자 하는 검체를 도말하여 표본을 염색하거나 또는 그대로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형태와 미세구조, 균의 감별 등 분류에 이용된다. 현미경의 기본적인 구조는 금속 원통의 양 끝에 대물렌즈와 대안렌즈를 갖추고 있으며, 재물대 밑에는 반사경이 달려있어 외부 빛을 반사시켜 검체를 비추게 한다. 현미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와 대안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계산하며, 광학현미경의 경우 최고 1000배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현미경에는 광학현미경 외에...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