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ERCP 시술 간호사 준비사항 및 절차2024.11.251.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1.1. 정의 및 개요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와 췌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이다. 십이지장에서 관찰되는 유두부를 통해 가느다란 도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통해 담도와 췌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주로 담관 및 췌관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된다. ERCP는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유두부를 통해...2024.11.25
-
ERCP 시술 방법 및 절차 분석2024.11.251.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 1.1. ERCP란?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란 내시경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으로 연결된 유두부를 통해 담관과 췌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이다. 간과 췌장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췌장액은 각각 담관과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며 십이지장의 유두 개구부에서 분비되어 음식물을 소화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담관과 췌관에 결석 또는 양성 혹은 악성 종양 및 염증으로 인한 협착이 있을 시 담관과 췌관이 막혀 소화액들이 분비되지...2024.11.25
-
총담관 낭 병태생리2024.12.111. 서론 1.1. 총담관낭의 정의 및 특징 총담관낭은 간내 또는 간외 담관의 낭성 확장으로 나타나는 담도계의 해부학적 이상이다. 담관낭종은 매우 드문 질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복통, 황달, 구토 췌장염, 복부 종괴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총담관 낭은 대부분 태어날 때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3~4배 자주 발생한다. 또한 서양인보다 동양인에서 더 흔하다. 또한 환자의 60~75% 정도가 소아 시기에 발견된다. 현재 Todani 등은 총담관 낭을 5가지의 형태로 분류했다. 제1형은 총담관에 낭성 또는 방추형 확장이 일어...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