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중환자실 실습 사례: DIC 발생기전 및 치료2024.09.25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임신 시 출혈은 대부분 응급상황에서 일어나므로 출혈 조절과 실혈보충 등 신속한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 저혈량성 쇼크가 일어나 결과적으로 저섬유소원혈증과 파종성 혈액응고장애를 초래한다.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란 혈액 응고 인자의 소비로 인하여 응고 장애 상태가 되는 것으로 출혈이 멈추어지지 않아 대량 출혈이 되고 마는 상태이다. 이것은 임산부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피의 응고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피의 응고(blood clot)는 피의 흐름을 감소시키고...2024.09.25
-
간질환2024.10.281. 간 질환 1.1. 간의 구조와 기능 1.1.1. 간의 해부학적 구조 간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약 1500g이며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있고 위를 덮고 있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뉜다. 우엽의 후면과 하면은 작은 미상엽과 방형엽의 경계부분을 간문이라고 하며 이 공간을 통해 정맥, 동맥, 신경, 림프관 등이 간으로 출입한다. 간소엽은 간의 기능단위로 간의 좌우 각 엽에 5~10만 개가 있으며, 길이가 1~2mm 정도로 작고 가늘다. 간소엽은...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