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간경화 케이스2024.10.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경화증은 만성 간 손상에 대한 상처회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 섬유화가 진행되어 조직학적으로 섬유성 반흔으로 둘러싸인 재생결절이 생긴 상태로 간 조직을 정상적으로 회복하기 어려운 질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 간질환, 간암의 환자 대부분이 간염과 관련 있으며 만성 활동 간염환자의 약 23%가 10년 내에 간경화로 진행되고 초기 간경화로 진단된 환자 중 약 10-15% 정도는 원발성 간 세포암으로 진행된다고 보고되었다. 이처럼 간질환 중에서 간경화는 유병률이 높고 발병 후 완쾌가 어려운 ...2024.10.21
-
혈액검사임상적의의2024.10.241. 진단검사 정상 범위와 의의 1.1. 혈액학적 검사 1.1.1. 백혈구(WBC) 백혈구(WBC)는 체내의 면역 및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세포이다. 백혈구 수치를 통해 감염, 염증 등의 병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정상 백혈구 수치는 4.0-10.0×103/μL이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백혈구 증가증)에는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순환장애 등의 원인이 있다. 반면에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백혈구 감소증)에는 세균감염, 약물 부작용,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 저하가 원인이 될 수 있...2024.10.24
-
nephrotic syndrome 성인2024.10.221. 서론 ○○○ 병원의 ○○병동은 콩팥·요로계, 항암치료 병동으로 ARF, CRF, UTI 등 다양한 질병을 가진 환자분들과 항암치료를 받는 분들이 계신 병동이다. 많은 환자들 중 ○○○환자는 혈당을 재고, vital을 측정할 때 항상 누워계시고, 화장실을 갈 때를 제외하곤 하루의 대부분을 침대에 누워 생활하시며, 다리를 누르면 누른 자국이 빨리 회복되지 않는 것을 보며 환자 ○○○의 질병에 대하여 궁금하였다. ○○○환자분의 질병은 헨리고리에 장애가 생겨 다량의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을 일으키는 질병인 Nephro...2024.10.22
-
담도계질환의 예방 및 관리2024.11.241. 담낭염 1.1. 정의 담낭염의 정의는 "급성 담낭염은 담석을 포함하고 담낭관(쓸개관) 폐쇄, 세균의 상행성 감염 등에 의해 담낭벽 염증으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점막의 혈류를 손상시킨다."이다. 만성 담낭염에서도 담석을 동반하는 일이 많으며 담즙의 과포화가 만성 염증과 담석 형성보다 먼저 발생한다. 1.2. 병태생리와 원인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염의 비정상적인 대사가 담석 행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담석은 정상 또는 비정상 쓸개즙 성분의 응집, 증식, 정체, 염증 등에 의해 형성되며, 콜레스테롤 담석과 혼합석이 전체의 80%...2024.11.24
-
복수 병태생리2024.11.251. 간·담도계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약 1500g 이며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있고 위를 덮고 있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뉜다. 우엽의 후면과 하면은 작은 미상엽과 방형엽의 경계부분을 간문이라고 하며 이 공간을 통해 정맥, 동맥, 신경, 림프관 등이 간으로 출입한다. 간소엽은 간의 기능단위로 길이가 1~2mm 정도로 작고 가늘며 간소엽은 중심정맥을 축으로 그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간세포로 접시같은 차바퀴 모양을 이루며 간소엽 사이의 결체조...2024.11.25
-
임상화학2024.08.281. 혈액화학검사 1.1. 혈당 검사 1.1.1. 포도당(Glucose) 포도당(Glucose)은 인체의 1차 에너지 원료로서 인체 내 대사의 주요 작용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 즉 혈당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이다. 포도당은 단당류의 한 종류로, 탄수화물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분류된다. 단당류에는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가 있고, 이당류에는 설탕, 유당, 엿당이 있다. 다당류에는 녹말, 식이섬유, 글리코겐이 있다. 이당류의 구성 성분으로는 설탕이 포도당과 과당으로, 유당(젖당)이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2024.08.28
-
Calculus of bile duct with obstruction2025.02.091. 서론 1.1. 사례의 배경 62세 남성으로 내원하기 2일 전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느낌의 cpigastric pain(상복부 통증)으로 응급실을 통해 내원했다.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Calculus of bile duct with cholangitis, without mention of obstruction을 진단받았다. 현재 PTGBD로 처치 중이며 추후 3~6개월 간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1.2. 질병의 정의와 특징 담도계(biliary system)는 담낭(gallbladder), 담관(bile duct) 및 담낭관(...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