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 대물림을 어떻게 끝낼 것이며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길들여진 어른들의 나라, 대한민국의 자화상『애완의 시대』. 이 책은 세대 간의 대물림 이란 문제에 대한 기록이자 이제껏 아무도 기억하지 않고 흘러보낸 대한민국의 연대기이다. 저자 이승욱과 김은산은 다양한 세대와 부모 자식으로...
대한민국이 복지국가로 가기 위한 고민들복지국가 담론을 탐색하고 그에 대한 궁금증과 의문을 살펴보는 『어떤 복지국가에서 살고 싶은가』. 학계와 연구단체 등에서 이루어진 복지국가 담론을 일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총 6장에 걸쳐 쉽게 풀어쓴 책이다. 먼저 복지국가의 이론적 기반인 사회권을...
사회심리학 분야의 대표적 학자인 허태균 교수는 이 책 『어쩌다 한국인』에서 그 원인을 ‘한국인의 마음’, 그것들이 모여서 이루는 사회현상이라고 지적하며 한국인 전체의 민낯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저자는 세월호와 메르스 사태, 땅콩회항, 윤일병 사건, 안철수 현상 등 우리 사회에 논쟁을 일으킨...
사회가 만든 ‘엄마 노릇’, 평범하지만 처절한 엄마들의 분투기『엄마의 탄생』은 2010년대 한국에서 아기를 낳고 키운다는 것, 건강하게 양육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여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페미니스트이자 노동사회학 연구자, 여성학자, 여성 소수자에 대한 글을 쓰는 저자 3인방은 ‘아...
1, 2, 3부는 여성의 삶을 구성하는 섹슈얼리티, 가족, 노동에 대해 구성했다. 이른바 공식적인 영역으로 여겨지는 일터의 이야기뿐 아니라 가족 안에서, 자신의 몸과 부대끼며 여성들이 겪는 내밀한... 그것은 여성이 어떤 존재여야 한다고 규정하는 사회적 힘에서 비롯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섹슈얼리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