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 추천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HEXACO 성격검사지 수록
정직과 겸손은 삶을 어떻게 이끌어가는가? 정직과 겸손은 정치, 돈, 권력, 섹스 등에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정직하고 겸손한 사람과 거짓되고 탐욕스러운 사람에게 내재한 H팩터를 통해 인간 성격의 스펙트럼을 탐구한다. 사람 보는 눈을 키우고 현명한 인간관계를 맺고 싶다면 꼭 읽어야 할 책! 정직성을 통해 밝혀내는 인간 성격의 참모습에 대한 심리학.
물을 알아간다는 것은 ‘살아 있음’에 대한 고찰이다!지구를 색칠하는 투명한 액체 『H2O』. 물이 생명에, 지구의 환경에, 그리고 다른 세계와 별들에, 더불어 과학의 가능성에 대한 우리 자신의 편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는 책이다. 물의 기원부터 물의 짜임새, 산소의 등장, 을 비롯한 생명의...
HARRIET M. WELSCH IS A SPY. IN HER NOTEBOOK, SHE WRITES DOWN EVERYTHING SHE KNOWS ABOUT EVERYONE, EVEN HER CLASSMATES AND HER BEST FRIENDS. THEN HARRIET LOSES TRACK OF HER NOTEBOOK, AND IT ENDS UP IN THE WRONG HANDS. BEFORE SHE CAN STOP THEM, HER FRIENDS HAVE READ THE ALWAYS...
AFTER A PLANE CRASH, THIRTEEN-YEAR-OLD BRIAN SPENDS FIFTY-FOUR DAYS IN THE WILDERNESS, LEARNING TO SURVIVE WITH ONLY THE AID OF A HATCHET GIVEN HIM BY HIS MOTHER, AND LEARNING ALSO TO SURVIVE HIS PARENTS' DIVORCE.
최초의 자기계발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데일 카네기는 친구를 얻고 사람들을 움직이는 비결의 핵심은 대화의 기술이 아니라 상대의 이야기를 잘 듣는 것이라고 했다. 리더십의 권위자 스티븐 코비 역시 인간관계에서 상대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잘 들어야 한다고 했다. 현대경영학의 창시자인 피터 드러커는 어떤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말솜씨보다 중요한 것이 잘 듣는 것임을 모른다고 안타까워했다.
하지만 우리는 정작 듣기의 중요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 말은 자신의 의지로 해야 하고 논리적으로 잘 말하기가 쉽지 않는 것과 달리 듣기는 귀를 막고 있지 않는 한 저절로 들리기 때문이다. 듣는 것은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므로 말하기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듣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밝혀낸 것은 구글이다. 구글은 최고의 성과를 내는 팀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4년여에 걸친 자료 조사와 분석을 통해 가장 위대한 성과를 내는 팀에게 가장 두드러진 특성 하나가 있음을 알아냈다. 바로 ‘서로가 어떤 비판이나 비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 즉 심리적 안전감이었다. 이것은 말하기가 아닌 듣기의 영역이다. 내가 어떤 말을 하든 잘 들어주는 상대가 있는 것이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우리는 말할 때 가장 신경 쓰는 것이 상대가 내 말을 어떻게 들을까 하는 것이다. 이런 말을 하면 비웃지 않을까, 이렇게 말하면 분위기가 썰렁해지지 않을까, 이런 아이디어를 내면 코웃음치지 않을까, 이런 제안을 하면 단번에 거절하지 않을까? 누군가와 이야기할 때 이런 생각들이 머릿속에 가득하면 말하기가 머뭇거려질 수밖에 없다. 리액션이 좋은 사람들 앞에서는 어떤 말이나 행동이든 자신 있게 할 수 있지 않은가. 이처럼 상대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은 인간관계는 물론 성과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