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가 망가지더라도 시를 쓰자 아름답게 살자”
모두의 찬란했던 그 시절을 소환하는 시집
순백으로 빛나서 더욱 아름다운 청춘의 비망록
2014년 『문학사상』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시작한 최백규 시인의 첫 시집 『네가 울어서 꽃은 진다』가 창비시선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을 등단 8년 만에 펴내지만, 동인 시집(『한 줄도 너를 잊지 못했다』, 아침달 2019)과 앤솔러지 시집(『도넛 시티』, 은행나무 2020)을 통해 독자들에게는 이미 익숙한 시인이다. 8년이라는 시간의 깊이만큼 탄탄히 다져온 내공이 역력한 이 시집은 장중하면서도 유려한 호흡과 고전적인 어투, 감각적인 이미지와 감성적인 언어로 쓸쓸히 사라져가는 삶의 풍경들을 재현하면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삶과 죽음에 대한 고뇌의 시간과 부조리한 세상의 그늘에서 불안하고 불우했던 청춘의 한 시절을 건너오는 동안 “상처와 성장통으로 하얗게 벼리어진 시편들”(정끝별, 추천사)이 뭉클하게 와닿는다. 젊은 시인들에게서는 보기 드문 레트로 감성이 물씬 풍기는 자전적인 시집이다.
월간 현대시를 읽다가 시인의 시집을 읽고 싶었다. 난해한 현대시와는 다른 면모를 가지고 있었다. 그의 시적 문체가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미지가 유려하고 내가 좋아하는 서정풍의 시여서 눈에 띄었다. 시어를 다듬는 솜씨는 그의 내공이 만만치 않게 느껴졌다.
시인은 문창과를 졸업하고 문학사상에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뿔이라는 창작동인으로 활동한다. 동인시집이 있다.
시집의 구성은 총 4부로 되어 있고 총4부의 소제목도 매우 인상적이다. 제1부는 여름과일은 왜 이리도 쉽게 무를까에 딸린 시 9편이, 제2부는 우리에게 사랑은 새를 기르는 일보다 어려웠다에 딸린 시12편이, 제3부는 우리가 그 여름에 버리고 온 것에 12편이 제4부는 돌아가고 싶은 세상이 있었다에 딸린 시9편이 실려있다. 모든 시들이 보석같은 이미지들을 간직하고 빛을 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