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간과 컴퓨터(또는 기계)가 공존하는 시대를 세밀하게 그려낸 『보이지 않는 세계』는 과학과 암호학, 그리고 인공지능의 역사까지 아우르면서 인간의 사랑과 상실감, 그리고 관계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해주는 작품이다. 1920년대부터 2020년대를 넘나들면서 펼쳐지는 여정, 그리고 작가의 빛나는 상상력이 물 흐르듯 문장 하나하나 속으로 스며들어 때론 긴장감을, 때론 따뜻하고 편안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소설은 인터넷도, 인공지능도 없던 시대를 넘나든다. 벽걸이형 전화, 128K 매킨토시, 도트 프린터 등 1980년대의 사물들과 옷차림, 거리 모습 등도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또한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1인칭 시점으로 바뀌면서 엘릭서가 이전 것들을 회상하는 부분은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같이 들리기도 한다. 어쩌면 엘릭서는 데이비드라는 한 인간의 화신이지 않을까.
언뜻 복잡해 보이는 듯한 이야기 얼개는 페이지를 넘길수록 자연스럽게 풀려나간다. 어쩌면 음악 전공자이기도 한 저자의 몸속에 배어 있는 리듬감이 문장으로 표출되는 것이 아닐까. 우리가 살아가는 미래의 세상은 또 어떻게 변할까? 과학의 발전이 눈부신 오늘날 수많은 가상현실이 만들어지고, 그 속의 진실은 무엇이고 인간적인 공감은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한 생각까지 이어주는 작품이다.
줄거리
보이지 않는 세계는 에이더의 성장소설이자 아버지인 데이비드의 과거를 파헤치는 추리소설이기도 했다. 그리고 어떤 면 에서는 SF소설 같기도 했다.
에이더는 연구소 소장인 아버지 데이비드 밑에서 홈스쿨링을 하며 교육을 받는다. 하지만 아버지인 데이비드가 치매에 걸리면서, 친척이나 다른 가족이 없는 에이더의 양육권이 문제가 된다.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에이더에 대한 데이비드의 양육권은 여러모로 문제가 있었다. 홈스쿨링을 하겠다는 등록도 안되어있고, 대리모를 이용한 데이비드의 출산 과정과 대리모와 데이비드 사이에 계약서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한 점이 한 두개가 아니었기에 아버지의 과거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다. 그렇게 데이비드의 대한 과거가 하나 둘씩 밝혀지면서 에이더는 혼란을 겪는다. 하지만 모든 비밀을 다 알아낼 수 없었고 결국 포기하게 된다.
그렇게 어른이 된 에이더는 아버지가 남겨준 플로피 디스크를 다시 발견하게 되고 그 플로피 디스크의 암호를 풀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