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년간 12만 명이 효과를 입증한 최강의 탈설탕 프로젝트
★ 안철우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당뇨병센터장 감수
‘혈당’이 온 국민의 건강 키워드로 떠올랐다. 일찌감치 건강 관리의 중요성에 눈을 뜬 20~30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저속 노화’ 식단도 액상과당 같은 단순당과 밀가루, 흰 쌀밥 등 정제 곡물을 피하여 혈당 급증을 막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트렌드는 트렌드고, 머리로 아는 건 아는 것일 뿐, 여전히 지친 기력을 단숨에 끌어올리는 탄수화물 한 그릇과 쓰디쓴 속을 달콤하게 어루만져 주는 케이크 한 조각을 포기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 해로운 걸 알면서도 왜 우리는 설탕을 못 끊을까?
이 책의 대답은 분명하다. 이미 설탕에 중독되었기 때문이다. 단언컨대, 설탕은 현대인이 가장 선호하는 마약이다. 거의 모든 음식에 숨어서 우리 뇌와 호르몬을 제압하여 갈망을 일으키는데, 그 중독성이 무려 코카인의 8배다. 그러니 당장 오늘부터 설탕을 끊겠다고 결심하고 실패하길 반복하는 건 당신 잘못이 아니다.
저자 역시 잠결에도 침대 옆 사탕 단지에 손을 뻗을 정도로 심각한 설탕 중독자였다. 의사로서 환자들에게 설탕이 몸에 해로우니 끊으라고 조언하고는, 혼자 방에 들어가서 초코바를 먹는 모순덩어리였다. 그러나 숱한 시행착오 끝에 마침내 평생의 중독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알아냈다. 3개월 반 만에 체중이 19킬로그램 줄고, 전에 없던 활력을 느꼈다. 자신이 몸소 터득한 방법을 적용하여 20년간 12만 명이 설탕을 끊고 건강을 되찾도록 도왔다. 그 비결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몇 해 전, 나는 몸의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 자주 붓는 얼굴과 위장 장애로 고생한 적이 있다. 병원 검진 결과 큰 문제는 없었지만, 의사는 내게 ‘식습관 개선’을 조언했다. 그 조언은 나를 당혹스럽게 했다. 나는 음식을 가려 먹는 편이 아니었고, 나름 ‘건강하게’ 먹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식단을 일기처럼 기록해보면서 나는 깨달았다. 하루에 마시는 커피 두세 잔, 빵과 케이크, 과일주스, 각종 간식 속에 얼마나 많은 설탕이 들어 있었는지, 나는 전혀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대릴 지오프리의 『설탕 중독』은 그런 나에게 충격 그 자체였다. 우리는 설탕이 ‘당연히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심지어 아이들의 간식, 에너지 드링크, ‘건강식’으로 포장된 시리얼까지도 설탕의 덫에서 자유롭지 않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설탕이 단순한 식재료가 아니라, 의학적·심리적·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중독 물질’**임을 경고한다.
젊은이들의 집단적인 건강 악화 거기에 더해서 비만 인구의 급격한 증가, 이 원인으로 저자는 설탕에 중독된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사실을 지적을 한다. 간과해선 안 될 사실이 젊다고 단 것에 중독되었다는 사실을 알고도 무시하고 계속 설탕을 탐닉하게 되면, 살이 찌고 결국에 당뇨에 걸릴 수밖에 없다는 그런 점이었다.
단 것을 자주 먹으면 비만이 된다는 사실은 그래도 익히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각 외로 우리가 먹는 음식 대부분에 설탕이 범벅인 수준이라는 게 의외로 안 알려져 있는데 저자는 설탕 때문에 비만이 생길 우려가 있고 중독성이 매우 강한 점을 강조했다. 나도 과자에 중독된 적이 있었는데 먹어도 먹어도 계속 찾게 되는 그런 무서움이 확실히 있었다.
설탕 중독이라는 책을 읽게 된 것은 나의 건강을 위해서였다.
살이 좀 찌고 있고, 다시 내 삶에서 고체중으로 가고 있는 것 같아서 운동과 병행하여 식단관리도 해야함을 느꼈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단 것을 찾게 된다면 그것은 설탕중독이라고 한다. 단 것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 그러합니다.
설탕과 심장의 건강 연관성은 당뇨와 요산지수와의 관계이다. 요산지수가 높아져서 맥주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당과 관련이 있는 것 같아서 체크하고자 한다.
당을 줄이면 우리의 몸이 건강해질 수 있다고 한다.
설탕중족에서 벗어나 좀 더 건강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자
설탕만 줄였을 뿐인데 몸이 건강해지면 각종 성인병으부터 해방된다.